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한국어 수업의 의사소통 실패 요인 분석 -초급학습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Failure Factors of communications in Korean class

  • 1,360
124656.jpg

이 연구는 한국어 수업에 있어 의사소통의 실패 요인을 교사와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의 부족에서 기인하는 것이라는 데 초점을 맞추어 한국어 수업을 관찰하고 그 요인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한국어 교실 수업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활동은 언어에 의해 구성되며 수업은 학생과 교사의 의사소통에 의한 상호작용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교수·학습의 의사소통이 실패했을 경우 그 요인을 분석하여 파악하는 것은 효율적이고 발전적인 수업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 일일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문법적 능력(grammatical competence)과 담화적 능력(discourse competence), 사회 언어학적 능력(sociolinguistic competence), 그리고 전략적 능력(strategic competence)을 그 기준으로 교사와 학습자에 의해 유발된 의사소통 실패의 요인을 관찰하였고, 그 자료를 분석하여 고찰해 보았다. 교사에 의해 유발된 의사소통 실패의 요인은 담화적 능력의 부족이 가장 많았고 학습자들에 의해 유발된 의사소통 실패의 요인은 문법적 능력의 부족이 가장 많았다. 의사소통 실패의 요인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고찰해 보는 것은 교사들에게 수업 의사소통을 이해하고 운용하는 방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ain cause of the failure of communication in Korean language class focusing on the lack of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observed the class and analyze the factors of the failure in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Most of the activities performed in class are consisted of language and the class is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f this communication of the Teaching-Learning fails,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factors is very crucial for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efficient and developmental class. For this, this research observed the factors of a communication failure caused by the teachers and learners based on these four criteria which are grammatical competence, discourse competence, sociolinguistic competence, and strategic competence and considered them analyzing data.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선행연구

3. 연구 방법

4. 자료 분석

5. 해석

6. 맺음말

Abstract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