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의사소통 기능 향상을 위한 듣기 활동 방안 연구

A study of listening activity method for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 2,472
124656.jpg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듣기 활동이 의사소통 기능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보고,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듣기 활동을 분석해 보고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듣기 활동을 제안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기존의 연구와 이론적 고찰을 통해 듣기가 단순하고 수동적인 이해 기능이 아니라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의사소통적 언어기능이라는 것과 듣기 활동은 의사소통 기능으로서 교육되어야 함을 밝힌다. 듣기 활동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듣기 전, 중, 후 활동이 주어지는 과정 학습이어야 하며, 행동하기, 전이하기, 되풀이하기, 모델링하기, 대화하기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듣기 활동이 주어져야 하며, 듣기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이 상향식 하향식을 고루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재의 듣기 활동을 분석한 후 문제점을 찾고 의사소통 기능 향상을 위한 듣기 활동 방안을 모색해본다.

This study believe that listening activities in the Korean education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The goal is to analyze the listening activities shown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offer a positive and proactive listening activities. Listening is not a simple and passive understanding. It is an active and aggressive communicative language skills. This can be seen via the existing research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listening activities should be education as communicative functions. Listening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activities should be made before, during and after listening. Listening activities should be done in a variety of types, such as 'acting, transference, repeating, modeling, talking'. Listening process must be equipped with a top-down bottom-up evenly. Based on this analysis, I analyze the listening activities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After looking at the problem, I try to find a listening activity method for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국문초록

1. 서론

2. 의사소통으로서의 듣기와 듣기 활동

3. 교재의 듣기 활동 분석 및 듣기 활동 방안

4. 결론

Abstract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