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4565.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두려운 힘’으로서의 신에 대한 경외

Being Struck with Awe by God as Tremendous Power :

  • 83

본고는 구약 성경의 가장 흥미로운 인물 중 하나인 욥의 종교 경험을 종교 심리학과 종교 현상학의 이론들을 통해서 분석한다. 욥의 종교 경험은 절대타자의 ‘두려운 힘’이 내포하는 이질성과 기이성에 대한 인간의 매혹과 두려움의 감정에서 온다. 무고한 욥이 당하는 고통의 ‘부정의’에 대한 신의 응답을 보면, 신은 도덕보다는 커다란 힘으로서 욥의 우위에 선다. 특히 창조물로서 사나운 짐승들의 힘을 표출시키면서 욥의 경탄을 자아낸다. 욥의 질문에 대한 이러한 ‘엇나간’ 신의 응답으로 욥에게 새로운 종교 경험의 차원이 열린다. 필자는 욥이 경험하였을 ‘성스러운 두려움’을 힘으로 가득한 누미노제적인 감정으로 해석하며, 욥의 종교 경험과의 연관성 속에서 구약 성경에 등장하는 신적 공포감의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본고는 구약 성경 속의 신과 인간과의 관계라는 틀에 함축된 어마어마한 힘에 대한 경외라는 인간의 내면적인 종교 경험이 지니는 의미를 밝히려는 시도이다.

In this paper an interpretation on the religious experience of Job, one of the most eminent characters in the Old Testament, is attemp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sychology of religion. This experience is complex but may be summarized as a sensation and awareness of God’s might leading to a simultaneous experience of fear of God as well as of awe in the face of the absolute other. YHWH’s reply and Job’s reactions have been the object of copious research already. God’s demonstration of power through monstrous creatures hints at an important aspect of God’s character as shown in the Book of Job, while Job’s religious insight reflects the full experience of the power of the numinous. Through analysing Job’s experience on the basis of Rudolf Otto’s and Gerardus van der Leeuw’s theory on the numinous and religious power it is my intention to explicate the psychological dimension of the Book of Job from a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Subsequently I will reflect on the awe-inducing experience of God in the Old Testament in general and on its meaning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kind. Finally it is my intention to reassess the religiosity of awe in the face of divine tremendousness.

Ⅰ. 들어가는 말

Ⅱ. 욥기와 ‘두려운 힘’으로서의 신

Ⅲ. 맺는 말

참고 문헌

국문 초록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