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현대의 사제양성」(Pastores Dabo Vobis)에 따른 사제 양성

Priestly Formation According to Pastores Dabo Vobis

  • 120
124567.jpg

「현대의 사제 양성」은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의 문헌 중 가장 긴 문헌이며 긴 서문(1~4항)을 포함한 6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3개 장은 직무 사제직의 도전, 본성, 사명, 영성 등을 다루며, 나머지 3개 장은 사제 양성과 사제 평생 교육 등의 주제를 다룬다. 결론은 예수 그리스도의 어머니시요, 모든 사제들의 어머니이신 마리아께 바치는 기도를 포함하고 있다. 사실, 이 교황 권고는 사제의 영성 생활의 질을 양성 여정에 비추어 보는 풍부한 조망을 지니기에 사제양성에 영감이 되는 문헌이다. 제5장은 「현대의 사제 양성」에서 가장 긴 장으로서 사제지망자들의 양성을 다루고 있다. 이 장은 사제 양성의 인성적, 영성적, 지성적, 사목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인성 양성은 사제 양성의 초석이 되어야 하고, 영성 및 전례 양성은 그 심장이 되어야 하며, 지성 양성은 수단이 되어야 하고, 사목 양성은 목표가 되어야 한다. 사제지망자들의 인성, 영성, 지성 양성은 “일정한 내용과 명확한 특징”을 확실히 가질 수 있도록 해 주는 “사목적인 성격을 띤 궁극적인 목표”를 향해 나아간다. 이 교황 권고의 중요한 측면 중 하나는 모든 사제들에게 활력소로서 “목자로서의 사랑”이라는 표현이 강조된다는 점이다. “목자로서의 사랑”이라는 말은 「현대의 사제 양성」에 쉰 한 번 등장하며, 제1장을 제외한 모든 장에서 이 개념이 고찰된다. 이 권고의 목적이 “목자로서의 사랑”이라는 말에 잘 표현되어 있는 것이다. 목자로서의 사랑은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과 똑같은 사랑에 참여하는 것이다. 이 사랑에는 본질상 “교회에 자기 자신을 온전히 봉헌”하는 것이 포함된다. “목자로서의 사랑”은 일치의 수단으로, “사제가 벌이는 수많은 다양한 활동들이 통일성을 이룰 수 있도록 힘을 불어넣어 주는 내적인 원리”다. 「현대의 사제 양성」은 양성의 필요성과 사제의 삶이 유일한 목자께서 보여 주는 사랑의 차원을 닮아야 한다는 점을 명시하고 있다.

PDV is the longest document of John Paul II and consists of six chapters with a long introduction (nn. 1-4). The first three chapters discuss the challenges, nature, mission and spirituality of the ministerial priesthood, while the other three treat the theme of priestly formation and the ongoing formation of priests. The conclusion consists of a prayer to Mary, Mother of Jesus Christ and the Mother of all priests. In fact, the exhorttation is an inspiration for priestly formation with an ample illumination by way of a formative itinerary on the quality of the spiritual life of priests. Chapter five is the longest chapter of PDV and it discusses the formation of the candidate to the priesthood. It focuses on the human, spiritual, intellectual and pastoral dimensions of priestly formation. It seems that human formation must be the foundation of priestly formation, spiritual and liturgical formation is its heart, intellectual formation is the means, and pastoral formation is the end. The human, spiritual and intellectual formation of candidates to priesthood is directed to “a specific pastoral end” which ensures a “certain precise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ne of the important aspects of the papal exhortation is the emphasis laid on the expression ‘pastoral charity’ as the animating spirit of every priest. The term ‘pastoral charity’ appears fifty-one times in PDV and one finds the idea reflected in all the chapters except chapter one. The purpose of the exhortation is well expressed in the term ‘pastoral charity’. Pastoral charity is a participation in the same charity of Jesus Christ; which in substance consists of the “gift of self, the total gift to the Church” ‘Pastoral charity’ is the means of unity, it is “the dynamic inner principle capable of unifying the many different activities of priests.” PDV specifies the necessity of formation and the life of priests to be modelled after the dimension of the unique shepherd’s charity.

Introduction

1. Historical Antecedents of Pastores Dabo Vobis

2. The 1990 Synod of Bishops: Some Particulars

3. Highlights on the Priestly Formation in Pastores Dabo Vobis

4. Biblical Foundation of Priesthood

5. Priestly Vocation and the Challenges of Priestly Formation

6. Human Formation

7. Spiritual Formation

8. Intellectual Formation

9. Pastoral Formation

10. Agents of Priestly Formation

11. Ongoing Formation of Priests

Conclusion

Bibliography

Abstract

국문초록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