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원삼국~한성백제기 작물의 저장, 소비, 폐기의 일양상

The practice of crop storage, consumption and discard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and Hanseong Baekje periods: an analysis of carbonized cereal at the Gorim-dong site

  • 791
124676.jpg

원삼국~한성백제기의 용인 고림동유적에서는 다수의 주거지 및 수혈 유구에서 탄화작물이 출토되어, 취락 내 작물의 소비, 저장, 폐기 양상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가능하였다. 탄화작물의 종류 및 비중을 분석한 결과 쌀, 보리, 밀, 콩, 팥, 조, 피, 기장이 확인되었고, 각 가옥에서 여러 종류의 작물들이 고루 이용되었음 이 파악되었다. 가옥 내부의 저장은 토기를 이용하였음이 확인되었는데 특히 대형 주거에서 대옹을 이용한 저장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생각되었고, 가옥 외부의 저장은 깊이가 얕은 수혈을 이용하여 쌀과 잡곡 등을 탈각한 후 보관하기도 하였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주거지와 수혈 내부토에서 출토된 탄화작물의 출토 확률을 비교해 본 결과 쌀과 두류는 두 종류의 유구 간 큰 차이가 나타나, 폐기 과정에서 작물의 특성 및 가 치가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유적에 따라 작물의 구성이 다른 것은 취락의 위상에 따라 거주민의 계층 차이가 존재하여 각 작물의 이용 비중이 달랐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하였다.

Carbonized crop remains discovered from a large number of pit dwellings and underground pits at Gorim-dong site date to the Proto-Three Kingdoms and Hanseong Baekje periods. Thus it is possible to discuss the crop consumption, storage, and disposal patterns of Gorim-dong settlement site as follows. Firstly, rice, barley, wheat, soybean, adzuki bean, foxtail millet, broomcorn millet and barnyard millet were consumed similarly at each house¬hold. Secondly, households used jars for indoor storage, especially large storage jars in a large dwellings. Outdoor pits were used to store rice and millet in the final stage of pro¬cessing. Thirdly, considering that rice and pulse crops show different ubiquity rates at dwell¬ings and storage pits, it is assumed that the conservation rates at discarded places were af¬fected by physiological peculiarity of crops and their social value. Finally, differences in crop assemblages of the Gorim-dong site and the Janghyun-ri site were examined and it is at¬tributed to different contexts of the sites.

요약

Ⅰ. 머리말

Ⅱ. 고림동유적과 탄화작물

1. 고림동취락의 성격과 연대

2. 탄화작물의 분석 과정

3. 탄화작물의 출현 양상

Ⅲ. 고림동유적의 작물 출토 양상에 대한 고찰

1. 고림동유적의 작물 저장 방식

2. 주거지와 수혈의 작물 출토확률 비교검토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