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Discourse Approach to New Year Speeches of the Presidents of South Korea

  • 42
124663.jpg

본 논문은 프랑스 철학자 미셀 푸코의 이론을 기초로하여 한국정치가들의 발언기록물을 만들어내기 위한 시도를 보여준다. 푸코에 따르면 다양한 문화적 시간들에서 동일한 형성 체계 하의 발언들의 총체인 특정 담론이 번창하고 있다. 유일한 사건과 같은 발언의 출현을 관리하는 체계는 기록물이다. 푸코의 이론은 시간과 공간의 규제를 받지 않는 한국정치인들의 발언 등장의 이유에 관한 담론을 정의할 수 있도록 해준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approach to make archives statements of Korean politicians through the theory of M. Foucault. M. Foucault said the discourse goes beyond a standard text generation, the description of discourse is opposed to the history of thought and strives to show why an apparent discourse cannot be variant, why it is incompatible with the other discourse and takes ‘the place which cannot be substituted by any other discourse’. His theory gives an opportunity to show the real reasons why Korean politicians use special statements, which have an effect on the addressee without reference to the time and space.

Abstract

국문초록

Introduction

Basic principles of archives statements compilation

Archives statements compilation

Conclusion

REFERE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