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Determiners in Korean Language?

  • 79
124663.jpg

본 논문은 한국어의 품사를 다루며 관형사에 중점을 둔다. 한국어는 정관사와 부정관사가 없는 언어인 사실이되 많은 논문을 통해서 관형사를 영어로 ‘determiners’로 번역하고 또한 다른 용어를 선택하게 되어서 오해가 생긴다. 따라서 본고는 먼저 관형사에 대한 다양한 영어로 번역된 용어를 다루고 차이점을 밝힌다. Wiltschko의 이론을 사용하여 ‘determiner’의 중심이 되는 성, 수, 격, 위치의 특징을 설명하고 한국어와 대조한다. 이를 바탕으로 관형사의 특성을 밝히고 ‘determiner’이란 용어는 적절하지 않은 결론에 도달하여 ‘determiner’ 대신에 ‘attributive’이란 용어를 제안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structure of nominal phrases in Korean, a language without definite or indefinite articles. In particular, I focus on the issue of 관형사 in Korean. I use the proposal of Martina Wiltschko in describing Korean 관형사, giving the properties of gender, number, case and location. I compare Korean to English and German where the category of determiners is well defined and propose a notion of attributive for 관형사 rather than a determiner.

Abstract

국문초록

Introduction

What makes a determiner a determiner?

Korean gwanhyeongsa and their properties

Conclusions

REFERE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