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여성 이민자들이 직면하고 있는 사회문화적 적응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문화변용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국민과 결혼한 여성 이민자들이 직면하는사회문화적 적응에 있어 주요한 문제점을 조사하고, 이들 여성들이 문화적응에 관련된 문제들에 대처하기 위해 사용하는 행동전략을 규명해내는 것이다. 결혼이민여성들이 정서적, 사회문화적으로 한국 문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이들의 문화 적응전략의 선택에 연관된 요소와 사안들에 대해서 통계적 방법과 각종 분석 데이터들을 적극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의 예비결과로는 문화적응 전략의 선택은 결혼 이민자들의 소속 민족과 본인들의 교육 배경이라는 두가지 요인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 출신의 비교적 높은 교육을 받은 결혼이민자들은 주로 통합전략을 수행한다. 반면에 주로 동남아지역 출신의 교육받지 못한 여성 결혼이민자들은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하여 동화되거나 아니면 한국사회에서 소외되는 상황에 처하기도 한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서던지 아직은 다민족 사회가 아닌 한국이 가지고 있는 결혼이민여성들에 대한 각종 편견들은 결혼이민여성들이 한국사회로의 원활한 통합과 문화적응을 크게 방해하고 있는 실정이다.
This research focuses on current problems of sociocultural adaptation facing women immigrants in South Korean society.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rough the lens of acculturation theory, the major problems in sociocultural adaptation facing women immigrants married to Korean nationals, and to define the strategies they use for coping with the problems involved in cultural adjustment. Statistical data and analytical reports were used to determine the issues and factors influencing the choice of acculturation strategies for women marriage immigrants during their process of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adaptation to the host culture. The preliminary results of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choice of acculturation strategy is strongly dependent both on ethnic origin and educational background of marriage immigrants. The integration strategy is mainly practiced by the marriage immigrants of European origins with high professional qualifications while the immigrants with low educational background from Southeast Asia have to be either assimilated to better adjust to a new social environment or else face being marginalized. In any case, a smooth integration and acculturation of marriage immigrants is significantly hampered by the existing racial prejudices towards foreigners in South Korea, which is yet cannot be called a multicultural society.
Abstract
국문초록
Introduction
The major trends of multicultural policy and its side effects
Theoretical approach and research findings
Ethnic composition of marriage immigrants and basic issues in their sociocultural adaptation
Reasons for migration to South Korea: women immigrant’s expectations from marrying Korean men
Conclusion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