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석에서 목소리는 여전히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있다. 그것은 지금까지 청각 욕동(invocatory drive)의 대상, 의미화 작용의 잉여 부산물 정도로만 알려져 왔을 뿐 시각(scopic) 욕동의 대상인 응시(gaze)에 비해 알려진 바가 별로 없었다. 이런 의미에서 최근 영어로 번역되어 출판된 라캉(Jacques Lacan)의 세미나 10권: 불안(Seminar X: Anxiety)은 충분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갈증을 해소해줄 수 있는 중요한 텍스트이다. 이 세미나에서 라캉은 욕동의 다섯 단계에 해당하는 대상 소타자(objet petit a)들—젖가슴(breast), 대변(faeces), 남근(phallus), 응시, 목소리(voice)—을 하나하나 설명해나가면서 목소리에 대해서도 의미심장한 대목들을 여럿 남긴다. 필자는 목소리가 지닌 대상 소타자로서의 일반적 특징과 특수성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 각 단계별로 대상들을 비교 검토한 뒤에 대상 목소리와 관련한 라캉의 설명들을 정리하면서 본격적인 목소리의 이론을 구성하고자 한다. 목소리는 청각 욕동의 실재적 대상으로서 의미를 벗어난 비명이다. 그것은 신화적으로 원초적 아버지의 끔찍한 비명으로 표출되고, 이로 인한 불안을 해소하는 과정에서 비명은 초자아적 명령으로 전환된다. 세미나 10권은 원초적 아버지라는 신화적 맥락 속에서 비명의 무의미한 목소리가 초자아의 구체적인 명령으로 재탄생하는 기제를 밝혀준다. 나아가서 라캉이 간과하는 비명의 음악적 가능성은 금지의 한계를 넘어선 여성적 희열의 목소리를 가리킨다. 오페라의 역사에서 끊임없이 추구된 ‘천사의 비명’은 소리의 강렬함으로 희열을 표현하고, 베르니니(Gian Lorenzo Bernini)의 조각상은 소리 없는 형상으로 희열의 목소리를 구현한다. 오랫동안 목소리는 응시의 그늘에 가려져 있었다. 이제 목소리가 품은 무한한 가능성에 귀 기울일 때다.
Voice remains a relatively unknown object in Psychoanalysis. Despite i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not much is known about the object voice, except that it is the object of the invocatory drive and the surplus remainder of signification. Jacques Lacan’s Seminar X: Anxiety, in this regard, which was recently published in English, is a significant text that will illuminate the auditory dimension of the objet petit a. As explaining the five different objects—breast, faeces, phallus, gaze, and voice—that correspond to the five levels of the drive, Lacan elaborate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voice in a revealing way. This paper constructs a psychoanalytic theory of voice by examining its general and particular features in relation to other objects. Voice as a real object is ultimately a meaningless scream. It is mythically expressed as the appalling cry of the primal father; in resolving the anxiety engendered by the intolerable roar, the subjects turn it into the superegoic commands. Seminar X provides a valuable insight into how the meaningless voice of the cry is transformed into the specific commands of the superego in the context of the primal horde. Moreover, the musical possibility of the scream Lacan happens to overlook points to the voice of feminine jouissance beyond the limits of prohibition. “The angel’s cry” that has been passionately pursued in the entire operatic history expresses the feminine jouissance with a sounding intensity; Bernini’s sculpture embodies the voice of female ecstasy in a soundless form. Voice has long been shadowed by the gaze. Now is the time to listen to the unlimited possibilities of the object voice.
I. 들어가며
II. 욕동의 대상들
III. 목소리: 아버지의 비명과 초자아의 명령
IV. 음악적 목소리와 여성적 희열
V. 나오며
인용문헌
국문초록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