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4856.jpg
KCI등재 학술저널

Nature, animal, female, the voice of the Other

  • 77

본 논문은 쉘 실버스타인의 『아낌없이 주는 나무』가 과연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하듯 조건 없는 사랑에 대한 아름다운 이야기인가 하는 점에 의문을 가지면서 시작되었다. 이 작품에서 나무는 열매와 가지, 마지막에는 몸통까지 소년에게 내어주면서도 자신의 목소리를 내지 못한다. 나무의 목소리는 남성작가의 일방적인 시각에 의해 왜곡되고 은폐되어 있다. 이 작품은 인간이 자연을 대하는 태도를 보여준다. 인간은 자연을 인간에 봉사하는 도구로 인식해 왔으며, 그 인식의 근저에는 가부장제가 있다. 본 논문은 쉘 실버스타인의 『아낌없이 주는 나무』와 문정희의 시 「암소」에 나타난 남성중심의 가부장제 시선과, 그 속에서 왜곡되고 은폐된 타자의 목소리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남성 작가인 쉘 실버스타인과 여성 작가인 문정희가 그려내는 나무와 암소는 전형적인 여성성을 상징한다는 점에서는 같지만, 두 작가가 대상을 바라보는 심리적인 시각은 다르다. 쉘 실버스타인이 지극히 남성중심주의적인 시각으로 나무를 그려내고 있는 데 반해, 암소를 바라보는 문정희는 같은 여성으로서의 연민과 슬픔을 드러낸다. 남성의 시각으로 보는 '나무'는 매우 헌신적인 사랑을 통해 행복을 추구하는 낭만적인 이야기로 포장되어 있지만, 여성의 시각으로는 보는 '암소'는 희생적이고 서글프며 처참하다. 두 이야기는 모두 '희생'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있지만 '아낌없이 주는 나무'는 그것을 아름다운 사랑으로, 그래서 나무가 행복했다는 것으로 미화하고 포장한다. 그러나 '암소'에서는 그 어떤 것도 미화하거나 포장되어 있지 않다. 발가벗겨져 아무 것도 남지 않은 것이 '어머니'이다. 여성은 어머니란 이름으로 가부장제의 체제 유지를 위해 착취되고 희생을 강요당한다. '암소'는 특히 젖을 먹이고 자식을 키우는 이미지로 인간 남성에게 젖을 먹이고 살을 먹여 그들을 살찌우는 존재로 착취된다. 여기서 어머니와 암소가 등가를 이루고 있어 타자로서 여성과 동물이 다르지 않은 방식으로 착취되고 있음을 암시한다고 할 수 있다.본고는 『아낌없이 주는 나무』와 「암소」가 시간과 공간의 차이에 불구하고 가부장제 사고의 논리가 여전히 우리 안에 통용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자연, 동물, 여성으로 대변되는 타자들이 남성위주의 일방적인 시각에서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 밝히는 작업은 모든 관계의 조화와 평화로운 공존을 위한 출발점이 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왜곡되고 은폐된 타자들의 목소리를 회복시켜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investigating the voice of 'the Other' that has been distorted and concealed by male centered patriarchical viewpoint, by comparing Shel Silverstein's The Giving Tree and Moon Jung-Hee's 'the Cow.' Both 'giving tree' and 'the Cow' are same in that they symbolize the typical femininity. On the other hand, while Shel Silverstein describes the tree based on extremely male dominated view point, a female writer Moon Jung-Hee portraits the cow by exposing compassion and sorrow. In male-oriented view point, the 'tree' is depicted as a very romantic story that pursuits happiness through dedicated love. The story of cow in female view point is self-giving, sad and tragic. Both the stories have a theme of 'sacrifice.' However, while the Giving Tree beatifies it as a beautiful love, so tree was happy, 'the Cow' does not beautify or praise anything. It is the mother who was butchered and nothing left. By the name of mother, women are being forced to sacrifice and exploited for maintaining patriarchal system. Especially as an image of mother who breastfeeds and raises children, 'the Cow' is exploited by feeding and fattening men. This implicates that the mother and the cow are fundamentally the same, both were extremely exploited as 'the Other.' It will be the starting point for harmony and peaceful coexistence of all relationships that determine how 'the Other' which often called as the nature, animal, and women is described through male oriented perspectives. For doing this, the distorted and concealed voice of 'the Other' should be first be restored.

요약

Ⅰ. Introduction- presentation of a problem

Ⅱ. Tree- The female language which was distorted by male speaker

Ⅲ. "The Cow" - the destructed female language

Ⅳ. The Voice of the Other, for its recovery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