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명청소설 속의 동성애 고사 연구

  • 504
124857.jpg

이전의 중국 고대문학연구에서는 동성애 문제에 대한 관심이 비교적 적은 편이었다. 하지만 동성애 현상 및 문학작품에서의 묘사는 일찍부터 논의되어 왔으며, 명청시기에 이르러서는 중요한 사회적 현상이 되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명청소설 속의 동성애 고사를 대상으로 역사적, 문화적인 시각에서 사회학ㆍ민속학ㆍ심리학 등의 방법을 결합하여, 명청소설 속의 동성애 고사에 대해 심도 있게 살펴보고 그 지역문화적인 특수성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서론에서는 연구주제의 의의와 이전 관련 연구에 대한 종합적 서술 및 연구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그 외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른 주요 분석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명대 이전 사회의 동성애 현상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서술 및 고찰하였다. 명대 이전의 역사적 시기를 연구범위로 삼아, 선진양한시기(先秦兩漢時期), 위진남북조시기(魏晉南北朝時期), 수당오대 및 송원시기(隋唐五代宋元時期)의 세 시기로 구분하였다. 각 시기별로 동성애와 관련된 문헌에 대해 조사ㆍ정리하고 핵심적인 내용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다른 문화와 언어적 환경에서의 동성애 현상과 문학작품에 나타나는 표현 및 특징을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명청소설 속의 동성애 고사를 탐구하였다. 1절에서는 명대소설에서의 동성애 고사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 특히 명대소설을 문언소설과 백화소설로 나누어 각 소설작품 속의 관련된 이야기와 그 특징에 관해 분석하였다. 2절에서는 청대소설 속의 동성애 고사에 관해 다루고 있으며, 이 또한 문언소설과 백화소설로 나누어 각 작품에 수록된 동성애 고사와 그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명청소설 동성애 고사와 문학적 표현방법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1절에서는 명청소설에서의 동성애 고사 이용방식을 살펴보았다. 즉, 명청소설을 분류하고, 각 명청소설 이야기의 내용과 이 과정에서 동성애 고사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2절에서는 명청소설과 동성애 고사의 계승관계를 분석하였다. 《금병매(金瓶梅)》와 속서(續書), 《홍루몽(紅樓夢)》과 속서(續書), 《도화영(桃花影)》과 개작작품 등의 작품에 초점을 두고, 원작 vs 속서 및 개작작품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속사 및 개작작가의 원작에 대한 견해와 동성애에 대한 태도를 살펴볼 수 있었다. 3절에서는 명청소설 작가들의 동성애 고사 서술태도를 크게 부정적, 긍정적, 향락적 세 가지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작품 속의 동성애 서술방식과 시각을 통해, 당시 작가들의 관점에서 동성애에 대한 견해와 더불어 사회적 관점에서의 동성애에 대한 풍조를 추측해볼 수 있었다. 4장에서는 명청소설의 동성애 고사에 반영된 지역문화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이는 성사회학적인 관점에서 동성애 문제를 역사적, 문화적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은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경사지역(京師)과 배우동성애(優伶同性戀)(1절), 복건지역(福建)과 계형제(契兄弟) 풍습(2절), 광동지역(廣東)과 여성동성애(3절)에 대해서 각각 서술하고 그 특징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지역적 특징을 기초로 각 지역의 동성애 현상과 그에 반영된 지역문화와 문화적 의의를 논의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명청소설에서 "동성애"를 주제로 한 고전문학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와 시사점을 준다. 즉, 역사문화적인 관점에서 동성애 ① 사회현상의 배경과 더불어, ② 명청소설에서의 고사탐구, ③ 고사와 문학적 표현, ④ 고사와 지역문화 특수성 등의 일련의 특성을 다각적, 심층적으로 풍부하게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기여가 있다.

【論問題要】

<논문목차>

&#21442;考文&#29486;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