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부여쌍북리출토구구단목간(557년경)>과 <전대전월평동산성수습구구단기와(6세기 말 - 7세기 초)>는 거의 같은 시기의 구구단 기록유물이다. 백제 구구단은 중첩기록을 생략하여 가장 간단하게 기록되었다. 목간의 용도는 행정업무에 사용한 구구단표로 가장 간단하게 요약하여 기록되었다. 36개의 기록을 통하여 구구단의 모든 것을 표현하였다. 반면에 중국이나 일 본의 목간은 허사를 넣어 글자 수를 맞추려하였다. 바로 이점이 백제의 목간이 다른 나라의 구구단과 기록방법이 다른 점이다. <부여쌍북리출토구구단목간(557년경)>의 서체는 해서법이 사용되었고, <전대전월평동산성수습구구단기와(6세기 말 - 7세기 초)>는 예서법이 사용되었다. 백제의 6세기 중엽에 금석문에는 예서가 사용되었다. 행정기록에는 행서, 초서, 해서 등을 혼용하였다.
<The Baekje's Wooden tablets, tables of Multiplication table>. <Wolpyeong-dong Castle's the tile tables of Multiplication table> are Tables record of approximately the same time an artifact. Nested tables Baekje was simply recorded by omitting the record. The use of wooden tables used on administrative duties recorded a brief summary of the most by a vote. Express all of the tables through the record of 36. Just the advantage of the tables of other nations and other wooden thing about Baekje Dynasty. Did writing in <Ssangbuk-ri, Buyeo-eup around wooden tablets, tables (557)> were used and the law, <Wolpyeong-dong, tables tiled (6th century - acid under control group the previous month) early 7th century> is Gothic of law is used.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of Baekje, Gothic lettering(隸書) is used in the Stone, The cursive style(草書), semicursive style(行書) of writing in the administrative records, do it, do it your back mixed.
Ⅰ. 머리말
Ⅱ. 구구단의 기록체계
Ⅲ. 서체
Ⅳ.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