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당학동이 읽은 필사본 ‘용례집(用例集)’의 내용과 특징
Contents and Features of Manuscript of ‘Collections of Practical Texts’ that Pupils at Seodang Read
- 한국고전연구학회
-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 제34권
-
2016.08279 - 326 (48 pages)
- 269

조선후기에 비양반 출신의 학동들도 서당이나 서재에 출입하며 한문을 익히고 기초적인 유교 경전을 공부했다. 그러나 이들은 유교 경전을 공부해도 과거시험을 통해 정식 관리가 되는 것은 거의 불가능했다. 따라서 이들의 수학 목적은 양반의 그것과 크게 달라질 수밖에 없었다. 그들은 후에 면임이나 향리가 되었을 때, 업무를 능숙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실무 지식을 습득하려고 했다. 이때 사용했던 교재가 바로 필사본 ‘용례집’이다. 이러한 책들은 수요자의 신분이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편찬되었는데 현전하는 용례집을 살펴보면 대개 각종 문서와 간찰 서식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간혹 여가 생활을 위해 소설 등이 첨부된 경우도 있다. 학동들은 이러한 용례집에 실린 각종 문서의 서식과 간찰 및 소설을 서당에서 훈장으로부터 배우고 익혔다. 이러한 용례집에 수록된 문서와 간찰을 통해 비양반 출신의 학동들이 서당에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공부를 했는지를 살펴볼 수 있으며 여러 문서 그 중에서도 특히 탄원서는 조선후기 사회의 다양한 모습과 갈등 등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당시 사회를 연구하는 데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In the late Joseon period, pupils from non-yangban family also went to either seodang or saejae to learn classical Chinese and study basic Confucian scriptures. Because it was impossible for them to become national administrators by passing the national civil service examination, non-yangban pupils studied in preparation for working as low-ranking officials at local government offices or older students in local educational institution without problems in the future. Thus, they devoted themselves to learn practical texts such as petitions rather than the scriptures of Confucianism and Neo-Confucianism. It was manuscript of ‘Collections of Practical Texts’ that those pupils read as learning materials. Published in various forms to meet readers’ social status and/or their need, the collections consisted of all sorts of documents, forms of letters, and novels in general according to some existing Collections. Pupils learned and practiced forms of various documents, letters, and novels through their teacher at seodang. Petitions included in the Collections are useful sources to research the society of the time, for they reflect diverse aspects of life and social conflicts of the time. At the same time, the petitions are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materials through which what non-yangban pupils studied would be examined in detail.
1. 서론
2. 필사본 용례집의 내용
3. 필사본 용례집의 특징
4.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