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19세기 전반 成祐曾과 淸 문사들의 교유 양상과 의미

Research on the Aspect and Meanings of Companionship between Sŏng, U-chŭng and Scholars in Qing Dynasty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 157
125462.jpg

본고는 成祐曾(1783~1864)이 1818년 무인연행 시 淸의 문사들과 교유한 양상과 의미에 대해서 논의한 글이다. 그는 청의 문사들과 주고받은 시와 편지를 󰡔茗山集󰡕에 수록하였는데, 이는 1818년에 있었던 3차례의 연행 중 유일하게 전하는 기록으로 자료적 가치가 크다. 성우증의 연행 기록은 무인연행의 제 양상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817년에서 1821년까지 비교적 간극이 길었던 연행록 연구의 공백을 메울 수 있다. 성우증은 연행을 통해 청 문사들과의 학문적 교유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실제 이를 성취하였다. 그가 교유한 청의 문사들은 陶澍와 陳用光을 중심으로 翰林院에 재직하며 혈연과 관직을 통해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들과 창수한 시는 대부분 상대방의 인품과 詩才를 칭찬한 뒤 이별의 아쉬움과 그리움의 정서를 표출하였다. 그렇다고 해서 의례적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서로에 대한 진정성이 오롯이 표출되어 우정이 빛을 발한 경우가 더 많다. 성우증에게 있어 이들과의 교유는 神交이자 得意處라 하기에 충분하다.

This paper studies aspect and meanings of companionship between Sŏng, U-chŭng and scholars in Qing dynasty during diplomatic mission in the year of Muin(1818). He made an exchange with scholars in Qing dynasty about poems and letters, and included them in Myŏngsanjip. It is a valuable material which is the only record of diplomatic mission in the year of Muin. It is a very important document that verifies aspect of diplomatic mission in the year of Muin and fills a gap in Yŏnhaengnok studies from 1817 to 1821. Sŏng, U-chŭng thinks companionship is the most important thing during diplomatic mission. He met Do Ju(陶澍) and Jin, Yong-gwang(陳用光) who were well-known in Qing dynasty, and they built human networks. They exchanged poems which were related to compliments of personality and poetic talent, and expressed wishfulness and longing for saying goodbye. They are not always ceremonial, they are much more sincere and truthful. So, it is enough to say that their companionship is tŭkŭich'ŏ(得意處) and sinkyo(神交).

1. 머리말

2. 연행을 통한 神交와 得意處

3. 성우증과 淸 문사들의 교유 양상

4. 맺음말: 성우증과 淸 문사들의 교유 의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