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5509.jpg
KCI등재 학술저널

차 산업 발전의 주도적 유인요소로서 교육체계 수립 방안에 관한 연구

  • 26

우리나라의 차 산업과 차 학계에서는 최근 몇 년 동안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고 하나 아직은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아 국내경쟁력은 물론이려니와 국제경쟁력을 제고할 전략적 접근이 많은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차 산업을 육성하고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유인요소로는 여러 가지를 들 수 있으나 특히 교육은 모든 유인요소 중 가장 핵심요소이며, 교육의 효과란 일시에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에 대한 교육체계의 수립 및 실행이 현시점에서의 절실하고도 시급한 해결과제로 요구된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기본명제이다. 연구자는 우리나라 차 산업의 구조를 개선하여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이 분야의 교육에 가이드라인과 프레임 구축을 위한 종자적 아이디어가 필요한 시기라고 판단하고, 이에 대한 배경논리를 검토하여 기본 추진방향을 설정하며, 더 나아가 국가․학계․산업계 및 재배농가, 소비자들이 교육이라는 주제어를 통하여 공동으로 연계될 수 있는 차 교육체계 수립 가이드라인 및 기본적 프로그램 구체안을 강구해 보았다. 차 산업 발전의 모형은 국내적으로는 재배자의 능력 향상, 공급의 최대화, 마케팅 경로의 능률적인 배치, 하부조직의 확대 등으로 단계적 전개가 이루어져야 하며, 국제적으로는 차 시장을 둘러싼 수출입의 가변성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국내외 차 산업의 현상과 과제를 검토해 볼 때 가장 공통적으로 필요한 것은 차 교육체계의 수립으로 귀결될 수 있다. 왜냐하면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퍼즐들을 하나의 완성품으로 집약하는 데에는 교육혁신 시스템의 구축이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우호적 교육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배경이론으로 SCP 패러다임을 활용하고, 기본추진방향의 축으로는 TQM(총질관리) 체제 지향, 공동생산적 학습기반조직 구축, 차 산업 대중화를 코드로 하는 상호공감영역 개발, 국가 - 기업 - 소비자간 동태적 역할 모형의 창출, 차 산업계에서 추구하는 가치들의 융합 내지 통합 모형 구축 등을 선정하였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