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새만금지역 차문화 축제 개발 연구

  • 54
125513.jpg

새만금지역은 21세기 대한민국에 새로이 떠오르는 블루오션으로 명품성과 경쟁력이 확보된 세계적 명소로 예상되고 있다. 이 연구는 새만금지역이 갖는 지정학적, 지경학적 수월성에 차문화축제를 결부시켜 봄으로써 세계를 무대로 하는 패러다임적 혁신을 통한 차문화축제의 진보적 의미를 재조명하고자 하는데 있다. 따라서 지역축제가 갖는 의의, 기능, 분류 형태 등을 검토하고, 성공적인 선행 사례를 살펴보며, 그 성공요인을 개략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틀을 토대로 새만금지역에서의 바람직한 차문화축제에 대한 기본 방향과 세부 운영 프로그램(안)을 구상하여 제시함으로써 새만금지역 차문화축제에 국내외적 차별성과 명품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새만금사업지역은 방조제 길이만도 33.9 Km로 세계 최장을 기록하고 있고, 총 토지조성 면적은 282.9 평방Km이며, 군산시, 김제시, 부안군의 3개 지방자치단체에 접하고 있는 방대한 지역을 조성하는 거대 사업이다. 더욱이 올해 4월에는 삼성그룹이 새만금에 풍력발전기, 태양전지 등 그린에너지 분야에 2020년부터 약 20조원을 투자하겠다는 발표를 하여 세간의 이목을 모으고 있다. 새만금지역에서 차문화축제를 시행할 경우 축제지역은 새만금관광단지, 방조제, 방조제와 고군산 군도지구의 연결지역, 복합도시인 새만금 산업단지의 4곳을 선택적, 또는 병합적으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단순한 축제가 아닌 21세기의 가치관을 대변할 수 있고, 지식기반사회형성에 유익한 축제가 되어야 하며, 새만금의 지정학적 우위를 활용하여 세계적인 차문화축제의 중심거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대중성과 명품성을 구유해야 하며, 다양한 고객 만족을 위한 차별화 전략과 타 축제와의 차별성 역시 강조되어야 한다. 전체적으로 국제 행다축제, 차와 다구축제, 차와 예술축제, 차와 웰빙축제, 차와 교육축제(차치료 포함), 비교 차문화축제 등 6개의 추진 분야에서 23개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을 기본 골격으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향후 이를 운영하기 위한 세부 실천과제 및 운영기획에 대한 후속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