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차문화 공간으로서 정자의 변천과 역할

  • 328
125522.jpg

차문화 공간에서 구현된 차의 정신은 고조선시대부터 신선사상에 따른 다도수련이 신라의 화랑으로 이어져 차를 마시며 산천을 소요하고 심신을 단련하는 풍류정신으로 이어졌다. 고려시대에는 차가 불교와 더불어 선다일여의 정신으로 꽃을 피웠고 조선시대에는 다례의식을 제정하였으며 선비의 충절과 부녀자의 정절로 이어졌다. 또한, 차문화공간은 한 국가의 역사성을 배경으로 도덕, 종교, 학예와 같은 정신적 문화와 조화되는 것으로서 생활철학을 담고 있다. 옛 우리 선조들은 사문철(史文哲)의 형이상학적 정신을 함양하는 차생활을 영위해왔는데, 고조선 시대에는 자연숭배를 기본으로 하는 신선사상,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에는 불교사상, 조선시대에는 유교사상을 바탕으로 한 차생활을 영위해 왔다. 이러한 한국의 형이상학적 정신 구현의 장소인 차문화공간은 산과 들, 냇가, 바닷가, 바위, 수목 등 자연적 경관과 정원을 비롯한 연목, 정자, 누각 등의 인공적(건축적) 공간에서 자율을 기본으로 가변적 차문화 공간을 이루어 왔다. 이처럼 다양한 차문화 공간 중 이 연구에서는 정자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차문화공간의 역사적 변천과정에 대한 고찰, 차문화 공간으로서 정자의 역할과 기능, 차문화 공간으로서 대표적 정자인 궁궐의 정자와 한송정, 사륜정, 백운동별서, 일지암, 활래정, 다산초당 등을 통해 정자의 차문화 공간으로서 특징을 살펴보았다. 차문화 공간으로서 정자의 가장 두드러진 성격은 자연과의 융합성으로 자연에 순응하고 자연의 순리대로 살면서 자연에 동화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정자는 신체의 휴식이나 잔치, 놀이를 위한 기능보다는 자연인으로서 자연과 더불어 삶을 같이하려는 정신적 기능이 차문화공간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자연적, 정신적 기능에 중점을 둔 삶의 모습은 우리민족 고유의 신선사상에서 나온 풍류정신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고조선의 선도수련과 신라 화랑들의 심신훈련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었다. 선인들과 화랑들은 산천을 소요하면서 자연을 아끼고 사랑하며 차를 마시면서 자연에 동화되어 시공을 초월한 형이상학적 신선의 세계에 도달하려고 하였던 것이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