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 야생차문화축제는 축제장소를 다핵화(Zoning)하고, 각 축제장소에 내재해있는 스토리 텍스트를 발굴하여 스토리텔링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인지도가 높은 관내 관광 문화지에 축제 행사장을 마련함으로써 협소한 주행사장으로 인해 유발되는 교통 혼잡과 주차난 등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며, 적극적인 스토리텔링을 통해 지역 관광문화자원의 의미와 가치를 더하고 있다. 화개장터의 김동리 소설 ‘역마’ 스토리텔링으로 지역 문화관광자원을 재해석하여 새롭게 부각시킨 사례와, 악양면 평사리와 최참판댁을 중심으로 슬로시티를 연계한 그린관광 기반 확충사례는 외연뿐만 아니라 내적으로도 충실한 콘텐츠를 갖춘 축제로 부각되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야생차문화축제만이 가지고 있는 茶所民 스토리 텍스트를 최대한 활용하지 못하고 있어 이를 이용한 스토리텔링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Although the main event location of Hadong Wild Tea Cultural Festival is equipped with an unspoilt natural environment it was faced congestion and parking problem due to the narrow place. So they held festival at 4 tourism Attractions and did storytelling. The storytelling of Hadong Wild Tea Cultural Festival was being by the record of Daeryeom imported tea seed from Tang and planted Jiri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King in Hadong. The subject of Hadong Wild Tea Cultural Festival’s was changed ‘The seed of Daeryeom’ to ‘The King s Green Tea’.
Ⅰ. 서 론
Ⅱ. 야생차문화축제의 축제장소 다핵화
Ⅲ. 야생차문화축제 축제장소의 스토리텔링
Ⅳ. 독창적 스토리 텍스트 활용의 필요성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