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문화유산관광에서의 체험요소와 체험가치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Elements and Experience Values in Cultural Heritage Tourism

  • 716
125550.jpg

본 연구는 광주, 나주, 담양지역의 문화유산관광 체험프로그램에 참가한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Pine&Gilmore가 제시한 네 가지 체험요소를 요인분석을 통해 분류한 후, 4가지 체험요소는 어떠한 체험가치를 창출해내는지, 그 창출된 체험가치는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만족도는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하였다. 분석결과, 4가지 체험요소 중 교육적, 미적요소는 인지적, 감정적, 기능적 가치 모두에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냈으나 엔터테인먼트 요소는 기능적 가치에만, 현실도피요소는 세 가지 가치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감정적, 기능적 가치 모두는 만족도에 정(+)의 영향관계를, 만족도는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교육적 요소가 모든 가치에 영향을 미쳤다는 부분은 다른 선행연구들과 차이점을 보이는 부분으로, 이는 체험 장소가 역사적 사건과 스토리를 함유하고 있는 장소적 특수성으로 말미암아 역사적·지적 호기심을 자극하기 때문이라 볼 수 있으며, 체험동기, 체험환경, 체험프로그램내용 등에 따라 영향관계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문화유산관광 체험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엔터테인먼트 요소와 현실도피요소를 좀 더 보완하여 보다 풍부한 체험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Four different experience elements suggested by Pine & Gilmore were classified from the factor analysis for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cultural heritage tourism experience programs in Gwangju, Naju, and Damyang region. Then studies were conducted using regression analysis that; what experience values are created by the four experience elements; how the created experience values affect the satisfaction; how the satisfaction affects behavior intention. We found from this analysis that educational and esthetic element among the four experience elements were more likely to positively affect all cognitive, emotional and functional value, entertainment element more likely to positively affect only functional value, but escapism element less likely to make a meaningful impact on cognitive, emotional, and functional value. All cognitive, emotional, and functional value had a positive influence relationship with the satisfaction, and the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relationship with the behavior intention.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