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대학생들의 여가활동의 동기, 기능 및 여가협상 간의 관계 연구

Research on the correlation among leisure motivation, leisure functioning and leisure negotiation of university students

  • 217
125581.jpg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느끼는 여가활동의 동기, 기능 및 여가 협상 간의 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서로의 관계를 규명하여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대학생들의 여가에 관련이 있는 정책담당자, 실무 실행 단위의 담당자에게 필요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여가동기 요인중 유능감 인지 동기, 신체적 동기, 휴식적 동기는 여가준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동기 요인중 유능감인지동기 만이 여가비용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기능(여가통제, 여가욕구, 여가자신감, 여가심취) 요인중 여가통제, 여가자신감 요인이 여가준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기능 요인중 여가통제 만이 여가비용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대학생의 여가 활동은 삶의 질적 향상, 자아실현, 행복추구, 건강유지 및 증진에 효과적으로 이기 때문에 첫째, 대학생들을 위한 여가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여가․스포츠 시설 및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프로그램의 연속성을 위해서는 대학내 여가․스포츠 시설 및 프로그램을 운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대학생들을 위한 가족스포츠 교실, 가족캠핑 프로그램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넷째, 지역사회 및 관련단체와 협력 체제를 유기적으로 유지해야 한다. 건전하고 적극적인 여가 및 스포츠를 홍보하는 것 역시 지역사회와 매체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대학생들이 지역사회나 학교의 체육시설이나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협력을 구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of leisure motivation, leisure functioning, and leisure negotiation that university students think in order to suggest its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practical ones to the hands-on workers who carry out and work on the policies and projects related to young adults’ pursuit of leisure activities. The study suggests as follows: the university students’ leisure activities are effective way to higher quality of living, self-realization, pursuit of happiness, and health management. Therefore, first, it's necessary to provide university students with recreational education programs designed for them. Second, various recreational and sports facilities and related programs for them should be supplied. For the programs’continuity the recreational and sports facilities and related programs ON the campus need to be strengthened. Third, the programs that can be enjoyed by families with university students need to be developed and provided. Family sports class and family camping are strongly recommended. Fourth, close relationships with local community and related organizations should be maintained. Also it is indispensable to seek help from local media to publicize sound and healthy and positive leisure activities and sport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