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3706.jpg
KCI등재 학술저널

건축적 관점에서 본 발해유적에 대한 북한의 연구동향

  • 59

본 연구는 건축적 관점에서 발해유적에 대한 북한의 연구동향을 관련 학술지논문, 단행본, 발굴조사보고서 및 묶음집을 대상으로 살펴보았고, 이들 논문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그 결과를 평가해 보았다. 이를 통해 어떠한 주제에 어떠한 점이 부족한지, 연구가 진행되지 못한 분야가 어디인지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지금까지 2,000년 이후 북한에서 발표된 발해유적 관련 글을 주제별로 분류해 보면, ㉠발해유적총론, ㉡발해성곽 도성 궁전유적, ㉢발해 살림집유적, ㉣발해 24개돌유적, ㉤발해 유물, ㉥발해교통로등으로나눌수있다. 연구주제가운데가장많은수를차지하는주제가 ㉡발해성곽 도성 궁전유적관련논문이었다. 발굴결과를기초로하고있으며, 발굴내용이주로상경성, 서고성, 팔련성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북한은 유적 일부를 점유하고 있고, 발굴에 직접 참여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왔을 것이다. 그 다음으로 많이 연구된주제가 ㉢살림집유적이다. 궁성내 살림집유적의 발굴결과가 1930년대 일본의발굴결과, 1960년대북한과중국의발굴결과, 그이후중국의발굴결과에 모두 담겨있어연속적인 연구가 가능하기 때문일 것이다. 아울러 살림집의 온돌유적은 북한에서 고구려와의 발해의 계승관계를 입증하는 결정적인 단서로 삼고 있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Ⅰ. 머리말

Ⅱ. 발표 매체별 연구동향

Ⅲ. 발표 주제별 평가와 향후 연구주제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