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비장애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인권감수성이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on-disabled Elementary School Student s Emotional Intelligence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on Acceptance Attitude of Disability

  • 1,069
125695.jpg

본 연구에서는 비장애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인권감수성, 그리고 장애수용태도 간의 관계와 장애수용태도에 대한 정서지능, 인권감수성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봄으로써, 현재 통합교육현장 내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간의 심리적 통합 지원 및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4,5,6학년 초등학생 501명이었다. 정서지능 척도는 Salovey와 Mayer(1990)의 정서지능 모형에 입각한 문용린(1997)의 정서지능검사를 사용하였고, 인권감수성 척도는 국가인권위원회(2002)에서 개발하고 신옥임(2006)이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장애수용태도는 수용성과 활동선호 측면에서 각각 2가지 종류의 설문지(Voeltz, et al, 1980; Siperstein, & Gottlieb, 1977)를 류순옥(2002)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 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낮은 학년일수록 정서지능, 인권감수성, 장애수용태도 높게 나타났다. 인권감수성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평균이 높고 통합경험이 있는 학생은 통합경험이 없는 학생보다 수용성 측면의 장애수용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장애초등학생의 정서지능, 인권감수성, 장애수용태도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장애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인권감수성은 모두 장애수용태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수용태도에 대한 인권감수성의 설명력이 정서지능에 비해 높게 나타나, 장애수용태도에 대한 인권감수성의 상대적 영향력이 더 큰 것을 확인하였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