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김천 지좌리 토기요지를 중심으로 살펴본 신석기시대 후기 토기요의 공간 배치와 구조적 특성 및 소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지좌리 취락의 주거공간과 토기요지군을 분리한 공간배치는 신석기시대 전 기간에 걸쳐 나타나는 보편적인 취락 구 조임을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지좌리 토기요가 토기소성시설로서 적합한지에 대해서는 조사된 유구의 유존현상과 토기소성실험을 통하여 이를 적극적으로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런 모든 특징들이 동 시기 후기취락인 진주 평거 지구 유적에도 적 용된 사실을 밝혔다 이 연구과정을 통해 밝혀진 지좌리 토기요는 이전 시기의 토기요에 비해 형태와 기능 소성기술에 있어 획기적인 변화를 보이므로 지좌리식 토기요라 명명하고 신석기시대 후기를 대표하는 모델로 설정하였다. 지좌리식 토기요의 주요 특징으로는 주거군과 멀리 떨어져 하천의 상류방향에 토기요를 조성한입지 하천 흐름과 직교하는 장축방향 길이 이상의 비교적 일정한 규격 평면이 매우 긴 구상 의 형태 내부에 남아있는 목탄렬 바닥면 무시설 등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좌리식 토기요를 중심으로 신석기시대 후기 토기요지의 구조와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신석기시대 후기 지좌리식 토기요는 중기 이전의 송죽리식 토기요를 대표로 하는 대형의 원형 부석요에서 길쭉한 구상요나 장타원형 요로 형태적 변화를 보이며 소성기술에 있어서도 개방식 소성에서 피복식 소성방식으로 기술변화와 동시에 획기적인 경비절감을 가져왔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이런 현상은 남부내륙지역에서 부분적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지역에 따라서는 다른 양상으로 전개된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I. 머리말
II.김천 지좌리 토기요지
1.취락의 입지와 조성시기
2.취락의 공간배치와 토기요지
3.토기요지의 형태와 구조적 특성
III.소성실험을 통한 지좌리 토기요의 기능적 고찰
IV.다른 유적의 토기요지 검토
1.진주 평거 지구 유적
2.합천 봉계리유적
3.순창 원촌리유적
V.신석기시대 후기 토기요의 특성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