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南部地域 櫛文土器의 樣式과 型式 문제

The Styles and Types of Chulmun Pottery in Southern Area

  • 278

본 논문은 신석기시대 혹은 즐문토기 문화를 연구함에 있어 기반으로 하고 있는 토기의 형식과 양식 사용례를 검토하여 개념의 적정성과 운용 실태를 살펴보고 이들개념을 토기연구의 분석 장치로써 어떻게 적용하고 활용할 것인가를 검토한 것이다 신석기시대 즐문토기는 지역과 시기에 따라 나타나는 기형 문양형태 제작기법 등의 다양한 형질적 특징에 따라 토기형식이 설정되어 왔다 그러나 구체적인 개념 정립과 운용에 대한 방법론적인 검토 없이 편의적으로 혹은 무의식으로 취급된 측면이 강 하다 적어도 연구자간의 의사소통과 논지를 공유한다는 측면에서 사용 용어의 개념규정과 적용 방식에 대한 최소한의 개념 장치가 필요하고 이에 대한 검토 작업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즐문토기 연구에 있어서 양식 개념 역시 복잡하게 전개되는 한반도 즐문토기의 문화적 변화상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즐문토기의 성립과 전개 소멸 프로세스를 거시적인 맥락 속에서 이해하기 위해 도입과 활용이 요구된다 양식의 개념화와 양식에 내 재된 기능과 구조 양식의 확산과 분포상에서 표출되는 사회 문화적 현상을 어떻게해석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