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집자리와 마을의 운용방식 연구

The Research of Neolithic Age pit house located in the Midwest operating system

  • 318

본고는 중서부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중 중기에 해당하는 유적을 대상으로 집자리 구조와 출토유물 분석을 통해 내부공간활용에 대해 살펴보고, 마을의 구조와 운용방식에 대해서도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검토 결과, 신길동식 집자리는 내부공간을 활용함에 있어 출입구와 화덕자리를 기준으로 나름의 규칙성이 확인된다. 즉 집자리 내에서 취사를 위해 먹거리를 처리하는 작업공간, 비교적 대형토기를 통한 저장공간 등이 마련되었으며, 잠자리를 위한 도구의 기본적인 배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대천리식 집자리의 내부 공간구조는 대부분 길이방향으로 분할하여 사용한 흔적이 확인된다. 내부공간분할은 중심기둥구멍과 칸막이 기둥구멍을 통해 확인된다. 마을 구조는 신길동식 집자리 유적의 경우, 중심가구를 기준으로 1~2기의 주변가구가 결합된 형태의 가구군이 선상 혹은 면상으로 배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마을의 운용방식은 가구군을 중심으로 운용되었던 것으로 판단하였는데, 경기해안지역은 10개 내외의 가구군, 충남북부지역에서는 1~2개 내외의 가구군으로 마을이 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마을의 운용방식이 변하였음을 의미하며, 즉 대규모 마을의 기초단위에 해당하는 가구군이 독립적인 분산에 의해 충남북부지역의 소규모 마을이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대천리식 집자리는 중부서해안지역의 중심가구와 주변가구로 운영되던 기초단위가 결합하여 새로운 패턴의 가구운용방식이 등장하게 된 것이아닌가 판단하였다. 이와 같은 양상은 당시 생계방식 및 환경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던 것으로 초보적인 농경의 확산과 더불어 당시 환경의 변화를 중요한 요인이었을 것이다.

This paper Neolithic Age pit house located in the Midwest and middle of the ruins. target structures and excavated artifacts spot analysis looks at the internal space utilization, the town also examine how the structure and operation was performed. Review the results, Singildong pit house-style seat by utilizing the internal space oven door and place it on the basis of its own regularity is confirmed. and Daecheonri pit house-style most of the internal space structure with longitudinally split trail is confirmed. The town house Singildong-type structure located in ruins, By center around 1-2 period house in the form of a combined group of line or surface is likely to be placed. Operation mode of the town centered on the house hold groups were determined to have been operational, Gyeonggi areas around the 10 matches of the house hold group, northern Chungnam 1-2 in the group and outside of the house hold and the village can be seen that this operation. The operation mode of the village means that it has two sides, or Corresponding to the basic unit of a large village house holds distributed by an independent group, northern Chungnam small town in the region is likely to have formed. Daecheonri coast-style home west located in the Central, and Centered around house and house combined with basic unit that was operating the new pattern emerged that the operation mode of the furniture might have been judged Such aspects living at the time and how changes in the environment that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spread of agriculture, with a rudimentary time, changes in the environment would have been an important factor.

Ⅰ. 머리말

Ⅱ. 집자리 양상

1. 집자리 구조

2. 내부공간활용

Ⅲ. 마을의 운용방식

1. 마을의 구조

2. 마을의 운용방식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