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의 목적은 한반도 남부지역 조·전기토기의 전환과정에 대해 재인식함으로써, 조·전기 문화변동양상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조·전기토기의 상대편년을 실시한 결과, 융기문토기는 Ⅰ~Ⅳ기, 영선동식토기는 Ⅰ~Ⅲ기의 변천과정을 거치며 전개되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전기토기의 전환과정을 밝히기 위해 조기와 전기토기의 비전형적 요소를 가지고 전환기토기군을 설정한 후, 전환의 특성을 연속성과 단절성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조기 이른 단계부터 전기 늦은 단계까지 지속되는 요소(패턴 1), 조기Ⅳ기와 전기Ⅰ기를 연결하는 요소(패턴 2·3·5)와 같은 연속적인 흐름, 그리고 조기Ⅳ기에 소멸(패턴 4)하거나 전기Ⅰ기에 등장 (패턴 6)하는 단절적 전환을 나타내는 요소 모두가 확인되었다. 전환의 특성을 밝히기 위해 연속성과 단절성의 질·양적 강약을 평가한 결과, 연속적인 요소가 우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조·전기토기문화의 전환은 연속적인 요소와 단절적인 요소가 혼합되어 진행되었으며, 강한 연속성 아래 일부 요소에서 단절적 전환이 발생하였던 것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의 검토 결과를 종합할 때, 조·전기토기의 전환은 갑작스럽고 단절적 ‘사건’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일정한 시간 폭을 가지고 점진적인 ‘과정’을 거쳐 진행된 것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at new perspective about the aspect of transformation in early phase pottery during Neolithic era in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The study identifies chronological sequence of the pottery culture in the early·first phase. Then, I categorize the group of the pottery in transition period by examining untypical elements which have considered as unpredictable factors in the early·first phase. The characteristic of the transition in early·first phase pottery is examined to see if it contains the aspect of continuity or not. It shows not only the continuous flow (pattern 1, pattern 2·3·5) but also the discontinuous shift (pattern 4, pattern 6) in the transition period. It concludes that flow of the transition in early·first phase pottery is expected to have continuous as well as discontinuous factors. In this light, it is believed that discontinuous transition was showed up in the fraction of the potteries while the inclination of continuity widely occurred. After observing combination of the tool assemblages in the phases, the change in combination of tool assemblages is considered as association with transition of the pottery culture in the same period. Consequently, transition from the early phase to the first in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is believed to proceeding with gradual shift not only in pottery but also in general aspect of culture including combination of the tool assemblages
Ⅰ. 머리말
Ⅱ. 속성분류
Ⅲ. 남부지역 조·전기 상대편년
1. 조기토기(융기문토기)
2. 전기토기(영선동식토기)
Ⅳ. 남부지역 조·전기토기의 전환과정
1. 전환기토기군 설정
2. 조·전기토기의 연속성과 단절성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