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신석기시대 경제 연구와 패총

Subsistence Studies and Shellmiddens of the Korean Neolithic

  • 844

이 글에서는 현재 패총연구방법론에 대한 김건수(2004) 의 비판을 반박한다. 신석기시대의 패총연구자 생계경제에 대한 좋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고, 자연유물에 대한 동물고고학적 분석이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다른 접근법 역사 필요하다. 선사시대 생계경제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 외국의 모델을 응용하였다는 자제가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It is obvious that zooarchaeological methods for shellmidden studies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about prehistoric subsistence. Nevertheless, they are not the only, single most important research strategy and other approaches are also important. Application of models developed in other countries is not problematic, as long as they successfully explain Korean data with appropriate methodological consideration and have archaeological implications

요약

Ⅰ. 문제제기

Ⅱ. 패총연구와 자연유물 분석

Ⅲ. 패총연구에 있어서 모델의 적용

Ⅳ. 결론

參考文獻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