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韓國 南部地方 農耕에 대한 硏究

Study of agriculture in south province of korea - based on the composition of stone tool -

  • 264
커버이미지 없음

최근 발굴조사의 결과, 각 유적에서 시기적인 석기조성의 변화와 곡물의 출토 등 농경활동을 추정할 수 있는 유물이 많이 출토되고 있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남부지방익 유적을 중심으로 신석기시대 농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南部地方의 農耕活動에 대해서 遺蹟의 地理的인 側面을 重視해 4遺蹟群으로 나누어 穀物의 出土與否와 石器組成을 中心으로 알아보았다. 그 結果, 中期에 內陸遺蹟群을 中心으로 토기·유적 입지의 변화와 함께 석기조성이 중국 요령지방과 대동강·한강유역의 유적, 즉 농경활동이 행해전 지역과 유사한 양상으로 변화해 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곡물로 조와 기장 등이 함께 출토되어 南部地方의 農耕은 櫛文士器의 定着·磨製石鏃의 出現·遺蹟의 立地의 變化(內陸 江岸沖積地로의 擴散) 등의 變化를 보이는 中期의 內陸地方부터 始作되었으며 그 中心作物은 조였던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海岸·島嶼遺蹟群에서는 前時期에는 보이지 않았던 耕起具(掘地具)인 곰배괭이·삽과 調理具인 棒狀의 갈돌과 갈판(鞍形磨臼)이 나타나 農耕또는 植物採集의 强化 등의 生業變化를 알 수 있었다.

In recent excavation. many grains and stone tools are found. Those kinds of remains make us assume agricultural activity. In this paper, I study the agriculture of the New Stone Age based on excavated remains in south Province. For studying the south province s agriculture, I geographically divide 4site and investigate the stone tool s composition and excavation of grains. I found that the composition of stone tools, earthenware and ruin s site of the Inland site in the middle age simiJady changed with Liaoning province of China, Daedong river, and Han river where the agricultural activity was done vigorously. The millets were found; the comb teeth pattern s earthenware was established; the stone arrowhead; the place of the ruin moved to the alluvion of inland. The all evidences show that the agriculture in south province came from the inland of middle age and the main crops was the millet. In the Coast and Inland site, the digging tool such as a hoe and a spade, and the cooking utensils such as the grind stick and grain plate were found. It shows the change of occupation to strengthen agriculture and collection plant.

요약

Ⅰ. 머리말

Ⅱ. 石器와 骨角器의 檢討

Ⅲ. 石器組成으로 본 南部地方 農耕

Ⅳ.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