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충청지역과 중부 서해안지역에서 신석기시대 집자리 유적이 증가하면서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집자리의 특징과 전개양상에 대한 진전된 논의를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중서부시역은 기존의 빗살무늬토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편년과 지역권 설정이 집자리의 구조와 변화양상의 검토를 통해서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 지형적 특징을 고려하여 대통강 · 황해도지역, 한강 · 임진강유역, 금강유역(충청내륙지역), 서해안지역의 4개의 지역권으로 구분하였다. 중서부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는 크게 기원전 3,500년을 중심으로 I 기와 Ⅱ 기로 분기설정이 가능하며, 각 지역별 · 시기별 집자리를 검토해 본 결과 집자리의 특징과 변화양상이 확인되었다. 대동강 · 황해도지역 I 기는 한강 · 임진강유역 I 기, Ⅱ 기는 급강유역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한강 · 임진강유역은 서해안지역과 시기를 달리하여 집자리의 화덕자리 구조를 제외한 평면형태나 기둥구멍 배치 등 일정한 연관성이 확인되었다. 금강유역은 다른 지역과 뚜렷하게 구별되는 ‘대천리식 집자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서해안지역도 다른 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와 다른 구조적인 특징을 보이고 있어 ‘서해안식 집자리’로 설정하였다. 특히 아산지역은 서해안식 집자리와 대천리식 집자리가 공반하고 있어 이들 양 지역(서해안지역과 금강유역)간의 점이지대로 판단되며, 추후 양 지역 집단간의 교류 및 생계방식과 관련된 많은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As the recent expansion of the Neolithic dwelling ite in the middle west coast area and Chungcheong area, the progressive discussion on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phases of Neolithic dwelling site of middle west area became available. The chronological recording and area selection based on the comb patterned earthenware of the middle west area is judged to be available. Therefore, it was classified into 4 areas considering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Daedong River / Hwanghae-do area, Han River / Imjin River valley, Geum River valley (Chungcheong inland area), and West Coastal area. The Neolithic dwelling site in the middle west area could be classified into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based on 3,500 BC. As a result of reviewing Neolithic dwelling site according to area and period, the characteristic and development pha e could be confirmed. The first period of Daedong River / Hwanghae-do area is sought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Han River/ Imjin Rivervalley and the second period is closely related to Geum River valley. Han River / Imjin River valley was proved to be related constantly in different period on the form of plain and disposition of pillar whole excluding the structure of stove remains. Geum River valley was mostly consisted of Daecheon-ri type dwelling site which is clearly distinctive with other areas. In contrast, West Coastal area shows different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other types of house remains in Neolithic Age which is defined as West Coast type dwelling site . Especially, in Ahsan area, the dwelling site of the West Coast and Daecheon-ri type coexist which could be assumed to be a borderline area between both area West Coastal area and Geum River valley and it is sought to provide diverse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areas and lifestyle.
요약
Ⅰ. 머리말
Ⅱ. 유적 검토
Ⅲ. 집자리의 전개 양상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