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을 활용한 지적재조사사업 프로세스 재정립 방안 연구
A Study on Process Reestablishment of Cadastral Resurvey Project Using Drone
- 한국지적학회
- 한국지적학회지
- 한국지적학회지 제32권 제2호
-
2016.0893 - 104 (12 pages)
- 655

최근 드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필요한 때에 필요한 지역을 신속하게 촬영하여 고해상·고정밀의 정사영상 제작이 가능해졌다. 지적재조사사업의 경우 불부합지역은 직접측량방식으로, 부합지역은 세계 좌표변환 방식에 의해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드론으로 제작한 고해상도의 정사영상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지적재조사사업 프로세스의 재설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드론으로 제작한 정사영상의 정확도가 현행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 에서 규정하고 있는 연결교차의 허용범위 ±0.07m (X, Y좌표 모두 RMSE 0.03m 이내) 내로 지적재조사사업에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토대로 드론을 활용한 지적재조사사업 프로세스 재정립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rapid development of drone technology over the last few years facilitates producing the high-precision and high-resolution orthophoto with its ability to immediately take the image of targeted regions as needed. In terms of cadastral resurvey project, direct survey method is adopted to examine the non-coincidency areas while coincidency areas are investigated with the global coordinate transformation. This study aims to find the way of redesigning the effective procedure to conduct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by utilizing the high-precision orthophoto-taken by a drone. The result from this study has proven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the accuracy of the orthophoto to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which the range of connection error: ±0.07m is allowed under the Special Act on Cadastral Resurvey (both x-coordinate and y-coordinate should be within RMSE 0.03m). In short, this study is designed to suggest the redefined procedure of cadastral resurvey project by utilizing the drone technology.
1. 서 론
2. 드론 및 지적재조사사업
3. 실험 및 분석
4. 드론을 활용한 지적재조사사업 프로세스 재정립 방안
5. 결 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