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애순 창 <심청가>의 진양조 중 계면조로 종지하는 대목을 대상으로 종지구의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고, 아울러 악곡의 단락을 구분 짓는 반종지구가 종지구와 어떠한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계면조로 짜여진 종지구는 모든 음악적 구성요소가 안정적인 종지를 위해 최적화된 형태로 되어있다. 즉, 대마디대장단의 가사붙임과 2+2+2의 리듬구조, 그리고 선율적으로는 계면조의 기본 음계로만 구성되었다. 아울러 종지구의 시작과 끝이 모두 계면조의 종지음인 la가 중심이 된다. 특히 진양조 6박 중에서 제3~4박 혹은 제4박에 종지음이 2회 연속하고, 제5~6박은 휴지함으로써 종지감을 분명히 한다. 둘째, <주과포혜> 대목을 예로 들어 반종지구를 분석해본 결과, 이들은 모두 진양조의 종지구가 전용되거나 변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변용된 경우에는 몇 가지 원리가 적용되었는데 즉, 종지구에 비해 제3박에 놓이는 반복선율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 종지음을 la에서 완전 4도 아래인 mi로 대체하는 것, 연속하는 종지음의 리듬꼴을 ♪♩와 같이 앞음이 뒤음보다 짧도록 변화시키는 것 등이다. 이밖에도 종지구의 앞쪽에 새로운 선율을 넣고, 기존의 종지구 선율을 제5~6박까지 뒤로 밀어 붙이는 방식으로 반종지구의 선율을 확대하기도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진양조의 계면조 대목에서 종지구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살펴보았고, 특히 대목 내의 반종지구가 종지구를 토대로 만들어진다는 것을 밝혔다. 이로써 판소리의 형식 분석에서 각 단락을 구분하는 기준이 될 수 있는 반종지구를 정의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을 제시하였다고 본다.
This thesis is aimed to examine the musical feature of cadence in Han Ae-soon s Shimchungga(Jinyangjo). Also, it ident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dence and the half cadence which distingish phases of melody. The result of this study presents below. First, musical components of the cadence are optimized to make stability high among them. For example, the cadence are composed of fundamental scales of Gyemyunjo, and have making lyrics of Daemadidaejangdan and 2+2+2 rhythmical structure. Furthermore, the cadence start with la that is the core melody of Gyemyunjo, and the finalis is la as well. In particular, the finalis is on the third and forth beat or the forth seriately in six beats. Also, it makes a sense of closure clear that fifth and sixth beat are mut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half cadence of Juguapohye, It verifies that they are used with their original form and transformed from the cadence of Jinyangjo. Especially, some principles are applied in case of transforming. For instance, the repeated melodies on third beat are newly composed compared to the cadence. Also, la is replaced by mi as the finalis and short note is followed by long note as rhythmic formation of successive finalis. Besides, the pause of the cadence is substituted for The new melodies Through this analysis, it turns that the cadence of each part are comprised by specific principle and the half cadence are formed from the cadence in the same part. In conclusion, it s available that defining the half cadence in the development section by classifying the cadence of identical rhythm.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종지구의 가사붙임
Ⅲ. 종지구의 선율형태
Ⅳ. 반종지구의 음악적 특징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