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한국 영화에 나타난 성차화된 다문화주의

Gendered Multiculturalism in Contemporary Korean Cinema

  • 614
126667.jpg

최근 10여 년간 다문화 이슈는 한국 영화에서 중요한 제재가 되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주의는 여전히 합의가 되지 않은, 논쟁 중인 개념이다. 이 논문은 다문화 가정을 다루고 있는 두 편의 한국영화 <완득이>(이한, 2011)와 <마이 리틀 히어로>(김성훈, 2012)를 통해 한국의 대중영화가 다문화주의를 전유하고 담론화하는 방식에 개입하고자 한다. 이 두 영화는 부재중인 친부와 이주민이라는 신분 때문에 모권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는 친모로 인해 발생한 다문화 가정의 위기를 다룬다. 그러나 친부를 대신해 상징적/유사 아버지로서 한국인 남성을 내세우며 가족의 위기를 봉합하고 다문화 가정의 아이를 사회적 주체로 내세운다. 이런 점에서 두 영화는 부계 중심성을 강조하면서 가부장적 가족 이데올로기를 재강화하고 한국인 남성의 우월적 지위를 인정해주는 방식으로 성차화되어 있다. 반면 여기에서 여성 이주민 주체는 여전히 배제되거나 피해자로 남고,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은 저항하지 않는 주체로 길들어 기존의 사회질서 안으로 통합된다.

Since 2010, multicultural issues such as multicultural family or migrant workers have penetrated into Korean commercial cinema. As a matter of fact, these films depicting multicultural issues are now given attention as one of the significant trends in contemporary Korean cinema. However, multiculturalism is an extremely contested term to date. Also cinema does not simply echo the discourse of multiculturalism supported by the government, but it instead negotiates and re/forms the discourse. In order to examine the way to create a cinematic discourse on multiculturalism, this article explores A Wonderful Moment (aka My Little Hero) (Kim Seong-hoon, 2012) and Punch (Lee Han, 2011) which deal with relationship between Korean men and the second gener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I argue that these films disseminate gendered multiculturalism, that is, “paternal multiculturalism.” In so doing, these films actually reinforce a belief in the superiority of Korean ethnicity.

국문초록

서론

2. 다문화 가정과 성차화된 다문화주의

3. 다문화 사회에서 가족 이데올로기 재편, <완득이>

4. 부계의 다문화주의, <마이 리틀 히어로>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