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기획특집]한국의 무자녀 부부가족 : 현황과 가족정책적 함의

  • 695
126707.jpg

가족규모 및 형태의 변화는 세계적인 추세이며, 한국에서도 이념형적 핵가족(부부+미혼자녀)의 비율은 감소하는 반면 비정형가족인 부부가구는 1990년 9.3%에서 2010년 20.6%로 증가하는 등(통계청 홈페이지, 2016) 가구 구성형태가 역동적 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가족 관련 가치관이 변화함에 따라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도 변화하고 있다. 이에 한국에서는 가족변화에 관한 연구(예: 가구유형 변화추이, 가구형태 변화 국제비교 등)가 활발히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비정형가족의 실태 및 내부 다양성을 다룬 상당수의 국내 연구는 취약가족을 대상으로 ‘문제’, ‘결핍’ 등 부정적 측면을 중심으로 접근한 경향이 있으며, 비정형가족의 생활세계를 가족사회학, 젠더의 관점에서 면밀히 조망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수행된 상태이다. 무자녀 부부가족은 앞으로 그 수가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는 가족형태 중 하나이자 젠더 관점에서는 재생산과 관련된 이슈, 가족사회학적 관점에서는 가족가치관 및 의식변화, 노후 돌봄을 둘러싼 다양한 함의를 가진 집단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무자녀 부부가족 규모 추정 및 유자녀 가족과의 차이 분석을 수행하고, 무자녀 부부가족의 생활세계를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무자녀 부부가족에 대한 본 연구의 조작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Ⅰ. 연구배경

Ⅱ. 연구방법

Ⅲ. 주요 연구결과

Ⅳ. 연구의 함의 및 시사점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