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적인 통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통일 이전의 문화적 교류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문화적 교류 가운데 정신문화의 핵심을 이루는 출판의 교류는 그래서 더욱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처럼 중차대한 출판교류의 활성화를 이루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공하고자 한다. 첫째는 정치·군사적 상황과 출판교류의 독립적 전개 및 별개화이고, 둘째는 공동 출판교류 위원회(저작권 위원회 포함)이며, 셋째는 국제행사의 공동참여, 마지막으로 공동 출판학술회의 개최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교두보로서 지정학적으로나 인류문화사적으로 그리고 정서적으로 북한과 매우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는 연변과의 출판교류를 선행하는 것은 남·북간 출판교류의 출발점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or a peaceful unification as well as the ways to activate the publishing exchange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of Korea. The publishing exchange which is also the very core of national culture,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exchanges. For the purpose, I suggest some results as below. 1. Developing the publishing exchange separated from any political and military situations. 2. Organizing the Joint Committee of publishing exchange (including Committee of copyright). 3. Joint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publishing events. 4. Holding joint conference of publishing studies. It might be a good start to exchange with publishing societies of Yenben, prior to North Korea. Because, Yenben district has been closely connected with North Korea in geopolitics, cultural anthropology, and racial aesthetics.
국문초록
1. 서
2. 남·북간 사회문화 교류 실태
3. 남·북간 출판교류 실태
4. 남·북간 출판교류 실태의 문제점
5. 결: 남·북간 출판교류의 활성화 방안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