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중학교 사회교과서 개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udy Materials Added to Middle-school Social Study Books - Focusing on the liberal art areas -

  • 90
126699.jpg

본 연구는 인문학적 소양교육을 위한 중학교 사회교과서 개편방안을 모색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사회 교과서의 내용이 인문학적 소양을 증진하기에 불충분한 것으로 평가됐다. 교과서는 향후 대대적인 개편을 통해 더 많은 양의 인문학적 내용을 교과서에 포함해야 할 것이다. 둘째, 현행 사회과 교과서의 문제점은 ‘교육과정의 일관성 결여’, ‘과다한 학습량’, ‘내용의 비현실성’ 등으로 분석됐다. 셋째, 사회과 교과서의 교육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교과서 내용개편, 교수법 개발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넷째, 사회교과서 개편방향은 다음과 같다. 즉 향후 사회교과서는 정치철학 관련 주제 및 현실적용 방법을 더 다뤄야 할 것이다. 또 사회교과서는 학생들의 관심거리나 사회적 쟁점을 담아야 할 것이다. 사회교과서는 전통문화는 물론 일반적 문화현상도 포함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사회교과서의 분량을 줄이고 내용 영역도 대폭 축소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사회 과목을 담당하는 일선 교사들은 학생들의 교육성취도를 높이기 위해 토론수업, 탐구활동 등과 같은 교과외 활동을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rategies upon which the revi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social study textbooks should depend while searching for the better way to improve students’ potentials on humanities.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current textbooks were not good enough to encourage students to learn humanities. It also found that the current textbooks have problems such as ‘the inconsistency of curriculum’, ‘an overload of learning materials’, ‘the absence of realities’, and the like.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s. First and foremost, the textbook has to be restructured in many ways. What is needed most is to include more liberal art materials in the textbooks. Second, it is necessary to revamp the reading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as for the strengthen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humanities. Third, new textbooks are to contain reading materials on politics and philosophies while showing the way of applying them to the real world. In addition, they also incorporate items attracting student attentions and contemporary issues interested by people in general into their contents. Fourth, they need to be revised to nurture cultural perspectives on generals, not to mention of our own culture while simplifying study areas and reducing the page volume. Fifth, social science teachers need to exp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like class discussions and exploring activities in order to improve students’s educational achievement.

국문초록

1. 서론

2. 기존 문헌 검토

3.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