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내에서 이루어진 중국 출판 연구 동향과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연구주제는 출판이론과 출판산업, 국제출판 분야라 할 수 있으며, 출판교육에 대한 연구가 가장 적게 이루어졌다. 이중 중국출판이론에 대한 연구는 중국학이나 중국문학 전공 학자들에 의해 많이 이루어졌으며, 중국 출판 산업 분야와 국제출판 연구 분야는 출판학 전공자들에 의해 대부분 이루어졌다는 특징이 있다. 연구 유형별로는 학위논문이 17편, 학술지 논문이 57편이었으며, 석사학위의 경우 다양한 전공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 한국내 중국 출판 연구 수록 학술지는 총 21개였으며 그 중 가장 많은 중국 출판 관련 논문이 실린 학술지는 <한국 출판학 연구>였다. 이와 같이 <한국 출판학 연구>는 중국 출판 연구에 있어서는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학술지이다. 그러나 학술지 주제분야 분류로 보면, 인문학 분야의 학술지에 실린 논문이 32편이었으며, 특히 ‘중국어와 문학’ 분야의 학술지에 많은 수의 중국 출판 관련 논문이 발표되었다. 이는 출판학이 학제간 학문임을 방증하는 결과라 할 수 있으며, 해당 학회와의 상호 연구 교류가 필요함을 증명한다. 즉 중국 출판학에 대한 연구는 출판학 전공자와 중국학 또는 중국문학 전공자의 공동 연구 또는 상호교류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rends of research on Chinese publications conducted in Korea and its characteristic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the research topics dealt with the most are publication theories, publication industry, and international publication, and education on publication is studied the least. Particularly, research on Chinese publication theories is mostly performed by majors of sinology or Chinese literature. Also, research on Chinese publication industry and international publication is mostly conducted by majors of publishing science. Concerning the types of research, there are 17 dissertations and 57 journals. Masters’ theses are written in many areas related to the majors. There are total 21 journals contained in research on Chinese publication in Korea, and the journal containing the most theses related to Chinese publication is <Research on Publishing Science in Korea>. It implies that <Research on Publishing Science in Korea> is a journal equipped with an unrivaled position in terms of research on Chinese publication. Regarding the topics of journals, however, 32 theses are contained in journals of literature, and particularly, journals of ‘Chinese and Chinese literature’ present a number of theses related to Chinese publication. This result implies that publishing science is one of the interdisciplinary sciences, and it is necessary to exchange studies with the academies. In other words, the result suggests that in research on Chinese publishing science, it is needed to perform collaborative research or mutual exchange among the majors of publishing science, sinology, or Chinese literature.
국문초록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4. 한국내 중국 출판 연구의 특성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