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내 동호회 활동만족이 구성원의 심리적 안녕감과 협력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Intra-company Club Activity Satisfaction on Employee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 한국경영교육학회
- 경영교육연구
- 경영교육연구 제30권6호
-
2015.12449 - 481 (33 pages)
- 128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 내 동호회 활동만족이 구성원의 심리적 안녕감과 협력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및 심리적 안녕감이 협력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직장 내 동호회 활동만족이 협력적 노사관계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심리적 안녕감이 매개역할을 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U시 소재 기업체 중 동호회 활동이 활발한 45개 기업체 직원들을 대상으로 총 495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집한 후, 최종적으로 470부의 설문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검증결과 직장 내 동호회 활동만족이 심리적 안녕감 중 삶의 목적 및자아성장과, 자아 및 타인수용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안녕감 중 삶의 목적 및 자아성장과 자아 및 타인수용이 협력적 노사관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장 내 동호회 활동만족이 협력적 노사관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장 내 동호회 활동만족이 협력적 노사관계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심리적 안녕감 중 삶의 목적 및 자아성장과 자아 및 타인수용이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문적․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intra-company club activity satisfaction on employee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In addition,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collects data from employees working at 45 companies located at U Metropolitan city by using questionnaire survey. 470 survey data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intra-company club activity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d psychological well-being(purpose in life and personal growth, self and other acceptance), psychological well-being positively influenced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and intra-company club activity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d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And it is also found that psychological well- be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a-company club activity satisfaction and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from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연구결과의 요약 및 토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