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대회자료

『니코마코스 윤리학』에 나타난 아리스토텔레스 지행론의 교육학적 해석

  • 438
126922.jpg

이 연구의 목적은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기초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지행론을 교육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지행합일에 이르는 교육의 과정과 지행합일의 개념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을 드러내고, 그것이 도덕 교육과 관련하여 어떤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가를 고찰하는 데에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지행합일로 나아가는 마음의 발달 단계를 성품의 덕과 지성의 덕으로 구분한다. 성품의 덕은 전통에 참여하여 훌륭한 본을 모방하고, 그것을 습관화하여 길러지는 것으로 이는 이성에 순응하도록 하는 과정이자 이성을 인식하기 위한 입문의 과정이다. 지성을 위한 교육은 변화하는 현상 이면의 단일성의 원리인 ‘형상’을 보도록 하는 일이며, 정교한 사고가 가능하도록 이성을 도야하는 일이다. 이성은 그동안 관례적으로 행하고 있던 행위의 진정한 의미를 되돌아보는 일을 통하여 전통과 관례 안에 표현된 삶의 원리이자 우리의 삶이 조회되어야 하는 궁극적인 기준을 드러낸다. 인간이 가진 고유한 기능인 이성을 최대한으로 발휘하는 일, 곧 ‘덕’이란 이러한 삶의 원리를 인식하고, 그것이 곧 진정한 자기 자신임을 깨닫는 일이다. 세계의 궁극적이고 절대적 기준이자 우리 자신의 본바탕에 관한 이해로서의 본체적 지식을 온전히 자신의 마음으로 삼아 그 마음의 자연스러운 실현으로서 올바른 행위가 드러나도록 하는 일이야말로 지식과 행함 사이에 아무런 간극이 없는, 참된 의미의 지행합일이라 할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지행론은 근본적 의미에서 지행합일에 이르는 교육을 설명하는 이론이라 할 수 있다.

요약

Ⅰ. 서론

Ⅱ. 아리스토텔레스 지행론의 지행합일론적 해석 가능성

Ⅲ. 교육의 관점에서 본 지행합일의 두 차원

Ⅳ. 교육학적 시사

Ⅴ.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