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우리나라 주요 연안지역의 해수면 상승의 확률론적 분석

Probabilistic Analysis of Sea Level Rise in Korean major coastal regions under RCP 8.5 Climate Change Scenario

  • 374
127053.jpg

해수면 상승 전망에 포함된 근본적인 불확실성은 전 지구적인 해수면 상승 가속률과 지역적인 해수면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인 인자들과 관련이 있다. 기후모형으로부터의 결과뿐만 아니라 최근의 첨단 관측자료들은 해수면 상승의 가속화가 임박하고 있음을 알려주고 있으나, 전통적인 조위 관측소의 자료들로부터는 아직까지 일관성이 있는 상승률의 가속화가 발견되고 있지는 않은 것이 사실이다. 가속률의 불확실성을 연안관리정책에 반영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기후모형으로부터의 전 지구적인 해수면 상승 전망자료와 상승추세가 있는 실제 관측자료를 합성하여 미래 해수면 상승량을 확률론적으로 추정하는 방법론이 제시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안을 대상으로 다양한 취약성 평가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안된 방법론은 우리나라 주요 연안도시를 대상으로 적용된다.

The fundamental uncertainties included in the outlook for rising sea-levels are associated with the global acceleration rate of sea-level rise and local factors affecting sea-level rise in specific sites. Although the results from climate models as well as the latest state-of-the-art observations have shown that the acceleration of sea-level rise is imminent, it is the fact that the consistent acceleration of sea-level rise has not been found in traditional tide gauging stations. In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reflecting the uncertainties of sea-level rise acceleration in coastal management policies, the methodology for stochastically estimating future sea-level increase amounts is presented through the synthesis of the future sea-level rise projection from climate models under RCP 8.5 climate change scenario and actual tidal data observed in official st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various vulnerability assessment in coastal regions. The proposed methodology is applied in Korean major coastal citi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