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경은 일찍부터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필자는 경면형태와 배면문양을 기준으로 정문경을형식분류하고 그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문경은 세형동검문화의 성립기에 조문경과 함께 볼록경으로 등장했으며, 발전Ⅰ기 초에 평면경을 거쳐 발전Ⅰ기 전반에 오목경으로 정착하면서 정문경의 정형이 완성된다. 정문경의 배면문양은 태양문의 조문경부터 사용된 삼각문a식이 가장 먼저 등장하며, 이후에 삼각문b식과 삼각문c·d식이 출현한다. 이를 토대로 정문경의 등장과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정문경은 세형동검문화의 성립기, 즉 기원전 3세기 초에 한반도 중서부지역에서 처음 등장했지만 조문경에 밀려 그다지 성행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발전Ⅰ기 초까지 이어진다. 정문경은 발전Ⅰ기 전반부터 크게 성행하기 시작한다. 이 시기는 대내적으로는 세형동검문화가 한반도에 성공적으로 정착하면서 토범 주조기술이 발전하였고, 대외적으로는 동과·동모와 같은 새로운 무기류의 등장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 동북지역과의 교류가 활발 해졌다. 이를 바탕으로 정문경은 한반도 중서부지역을 벗어나 점차 주변지역으로 확산되기 시작한다. 먼저 중서부지역과 가까운 서남부지역으로 확산되었으며, 이어서 중부지역과 서북부지역으로 확산된다. 그리고 일본열도에도 파급되기 시작한다. 철기가 등장하는 발전Ⅱ기에는 정문경의 형식이 Ⅲc식과 Ⅲd식으로 통일되며, 한반도 동북부와 동남부지역까지 확산된다. 따라서 정문경은 한반도 중서부지역에서 일어난 새로운 기술적인 혁신, 즉 토범 주조기술의 등장에 힘입어생산되기 시작하며, 세형동검문화의 확산과 더불어 한반도 전역은 물론 일본열도까지 파급되었다.
The bronze mirror with multiple knobs and minus patterns, a characteristic artifact of the slender-bronze-dagger culture, is distributed in the Korea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The result of analyzing type-transition of the bronze mirrors considering shape of their surface and pattern of their back as criteria for classifying types shows surface of the bronze mirrors was convex when they appeared in the formative phase, after that it was transformed into plain and thence into concave in the developmental phase Ⅰ. In the case of pattern of their back, ‘triangular pattern a’ had appeared firstly and ‘triangular pattern b’ and ‘triangular pattern c’ appeared thereafter. Though the bronze mirrors appeared in the early 3rd century BC, it had not been prevalent. This aspect continued until the beginning of the developmental phase Ⅰ. The bronze mirrors started to be prevalent in the early developmental phase Ⅰ. At this time, the slender-bronze-dagger culture successfully took root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casting technology based on clay mould also developed. Furthermore, cross-fertilization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ern China also had been activated which is shown in the advent of new weapons such as bronze daggeraxe, bronze spear etc. On the basis of it, the bronze mirrors spread into the Korea Peninsula and thence into the Japanese Archipelago. The developmental phase Ⅱ when ironware appeared, type of the bronze mirrors was standardized into the type Ⅲc, Ⅲd. And then the bronze mirrors started to disappear in the declining phase.
Ⅰ. 머리말
Ⅱ. 다뉴정문경의 현황
Ⅲ. 다뉴정문경의 형식분류와 편년
Ⅳ. 다뉴정문경의 등장과 확산과정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