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리더십의 재발견과 그 인문학적 가치
Rediscovering leadership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Its Humanistic Value
- 한국고전연구학회
-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 제35권
-
2016.115 - 38 (34 pages)
- 414

문학은 인간의 삶을 예술적 형상을 통해 그려냄으로서 공감을 자아내면서 세계의 진실을 발견하게 한다. 문학의 형상적 인식이 제공하는 공감적 울림은 독자의 내면세계에 강력한 힘으로 작용하여 자연스럽게 인식의 전환을 초래한다. 작품 주인공의 행적이 보여준바 정체성 확인과정은 리더십의 관점에서는 리더로서의 성장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영웅의 일생구조를 공유하는 신화 또는 소설 주인공들이 보여주는바 자기를 정립함으로써 리더로 성장하는 과정은 자신의 잠재력을 온전히 실현해내는 것에 다름 아니다. 리더십을 목적적 가치로 보는 이러한 관점은 리더십 교육과 함양을 개인적 성공을 위한 수단적 가치로 인식하는 일반적인 리더십 개발론과는 차별화된다. 삶의 단면을 그려내는 서사문학은 리더십 교육의 텍스트이자 현장이다. 다양한 인물형이 등장하여 삶과 인간관계의 다면적 양상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고소설은 일대기(一代記)적 서사 모형을 갖는 주동인물의 자기정립과정을 통해 리더십의 형성 및 성장과정을 보여준다. 이러한 고소설 주인공 세대의 리더십 형성과정은 우리에게 리더십 교육에서 선행되어야 할 가치가 ‘리더십 노하우를 어떻게 익힐 것인가’가 아닌, ‘어떻게 자기 정체성을 갖춘 인간으로 성장하는가’임을 말해주고 있다. 이러한 관점은 삶의 정황에서 자기 존재를 온전하게 실현하도록 하는 인간중심적인 목적적 가치로서 우리가 추구해야 할 인문학적 리더십의 방향에 대해 시사하고 있다.
Literary works usually deal with how characters find and understand themselves in society and reality. When we discuss leadership in literature, characters’ perception of selves should be considered before anything else because the process of leadership building is carried out in the character’s existence in reality in which leadership qualities are realized and evaluated. Literature is a field of humanities which explore humans. Literature tries to discover truth by describing human lives in artistic form thus inducing empathy. The empathy that literature fosters help readers change their perception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identity of a protagonist shows a growing process as a leader. Many myths and novels tell about the lives of heros who realize their potential as a leader. This perspective that emphasizes leadership as an end value differ from the leadership discourse that views leadership education as a mean to acquire individual success. The narrative literature which depict the cross sections of human lives could be used as a text for leadership education. It shows various types of characters and their lives. Korean Classical Novels typically show the growth of characters and leadership of protagonists through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ir self identities. They also tell us the main goal of leadership education lies not in how to acquire the leadership skills but in how to grow as a human being with self identity. At the same time, it implies direction of humanistic leadership education. We should persue from humanistic perspective self realization as an end value of leadership education.
국문초록
1. 입사식담 전통에서 본 정체성과 리더십
2. 문학의 관점에서 본 리더십
3. 고전문학 주인공의 리더십 발현양상
4. 젠더, 정체성, 리더십 : <바리공주> 읽기
5. 정체성, 셀프리더십 그리고 사회적 리더십을 위해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