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16세기 중반 詠鶴詩에 나타난 鶴의 의미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of the crane that appear on the Crane poem Ode[詠鶴詩] in 16th century midway - Focused on 「次玉堂失鶴韻」

  • 66
127123.jpg

본고에서는 1541년 당시 讀書堂에서 賜暇讀書하던 13인이 ‘湖堂修契’를 하여 학문을 토론하고, 이 가운데 松齋, 退溪, 河西, 石川 등이 「次玉堂失鶴韻」이라는 失鶴 唱酬詩를 남긴 점에 주목하여, 여기서 16세기 중반 詠鶴詩에 나타난 학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학의 의미 형상에 영향을 끼쳤을 당시 창작 배경으로 사상적인 면과 문학적인 면에 대해 살피고, 구체적인 저작 시기를 추정해 밝힌 후 「次玉堂失鶴韻」에 나타난 학의 의미를 추출하였다. 그 결과 「次玉堂失鶴韻」에서 학은, 당시 독서당의 움직임이 활발했던 16세기 중반에 학문적, 문학적으로 교유한 문인들이 자신과 학을 동일시하여 신선과 같은 경지에서 자유롭게 정신적 비상의 의지를 표출한 것이라 볼 수 있었다.

This paper attempted to look at the meaning of the crane in mid 16th century, especially focused on 「次玉堂失鶴韻」 that a number of Dokseodang[讀書堂] writers have created works. Therefore first, I estimated the creative background and author period of this poem. Next, I tried to extract the meaning of crane that appeared on 「次玉堂失鶴韻」. As a result, I revealed that the mid-16th century writers expressed a willingness to fly mentally and academically through identify with crane.

국문초록

1. 서론

2. 「次玉堂失鶴韻」의 창작 배경

3. 「次玉堂失鶴韻」에 나타난 학의 의미

4. 의의와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