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 사상이 자방성(지역성)을 갖고 발생하였지만 발생초 부터 세계의 규범으로 발전할 소지를 갖고 있었다는 보세성(普適性)도 갖고 있다. 공자사상은 발생초부터 곧바로 주류문화・정통문화에 들어있어 신앙지학을 되였다. 공자사상의 전개 양상은 시간적인 차원을 될 수 있어 이것은 “화이불동”의 “화”적인 의미이다. 화이불동의 불동을 나왔으니 그는 유학전파의 공 간차원으로 보기도 한다. 공묘(孔廟)또 문묘(文廟)는 중국 문화 “和而不同”적 부호의 상징으로 보고 “和而不同”의 가장 좋은 무대라고 상정한 것이다.
Globally speaking, two characteristics define whether a specific civilization can be accounted as a model that influences the whole human history: regional and universal. Ever since the birth of Confucianism, it has become a part of the mainstream culture and a school about beliefs. The developing history of Confucianism is the very embodiment of “harmony” about “Harmony in Diversity”. “Diversity” implies the spacial difference in spreading Confucianism. The Temple of Confucius is the place which witnessed the spread of Confucianism in both time and space; it also presents the whole developing history of Confucianism. So the Temple of Confucius is a symbol of “Harmony in Diversity” on Chinese culture, as well as an ideal platform for eastern and western cultural communication.
一、明先法后:从区域文化到正统文化
二、自知自信:孔子思想的生命力量
三、和而不同:孔子思想传播的时空维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