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7462.jpg
KCI등재 학술저널

5~6세기 서남부지역 수장묘를 통해 본 백제와 왜의 관계

The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Paekche and Wa Analyzed Through the Styles of Tombs of Leaders in the South western Region of Paekche During the Fifth to Sixth Centuries

  • 344

이 글에서는 6세기 전엽경 왜양식 전방후원분이 축조되기 이전인 5세기 후엽경에 이미 백제와 왜국 사이의 외교적 연대 강화를 시사하는 고고학적 자료가 존재하였음을 분명히 하였다. 이 주장의 주요한 고고학적 자료는 5세기 후엽경 백제 서남부지역 수장묘들의 분구를 장식하기 위해 채택된 왜양식 원통형 토기들이다. 백제 서남부지역 수장묘에 보이는 백제 중앙양식 방형 분구와 왜양식 원통형토기의 혼용은 백제 중앙에 의한 지방세력 우대정책과 친왜정책을 상징하는 고고학적 자료이다. 5세기 후엽경 백제와 왜국 사이의 외교적 연대 강화를 시사하는 또 하나의 유력한 고고학적 자료는 백제 서해안 항로상에 위치하는 부안 죽막동 제사유적에서 발굴되었다. 백제 중앙이 국가적 해안 제사가 거행되던 이곳에서 왜인들에 의한 왜양식 제의 거행을 허용한 것은 이 시기 강화된 백제의 친왜정책을 시사한다. 한편 6세기 전엽경 왜국 중앙의 정치적 동향을 고려하면, 백제 서남부지역 왜양식 전방후원분 축조로 상징되는 무령왕 정권기의 친왜정책 강화는 이 시기에 등장한 새로운 친왜파에 의해 주도되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고구려에 의한 서울지역 백제 수도 함락 사건과 공주 천도 후에 일어난 연속된 권력구조변동 사건 속에서 백제 중앙은 친중국남조 정책과 더불어 지방세력 우대정책과 친왜정책 강화를 선택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5세기 후엽~6세기 전엽경 백제 서남부지역 수장묘 묘제에 보이는 재지 묘제와 중앙양식 묘제, 왜양식 묘제의 변화 양상은 이러한 백제 중앙의 정치전략채택 과정을 명료하게 시사한다.

This paper clearly presents the existence of archaeological evidence implying the consolidation of diplomatic ties between Paekche and Wa already around the late 5th century, before the construction of Wa-style keyhole tombs in the 6th century. The major archaeological data of this argument is the Wa-style flowerpot-shaped clay cylinders selected to decorate the burial mounds of leaders from the southwestern region of Paekche around the late 5th century. The mix of square-shaped burial mounds in the style of central Paekche and Wa-style flowerpot-shaped clay cylinders reflected in the tombs of leaders from the southwestern part of Paekche symbolizes, in archaeological terms, the preferential policies on local powers and the pro-Wa policies pursued by central Paekche Another convincing archaeological evidence that suggests a strong diplomatic bond formed between Paekche and Wa in the late 5th century was found at the Chungmakdong Ritual Site in Buan, located in the sea route by the west coast of Paekche. To allow Wa-style rituals to be performed by the Wa people at a place where national seaside rituals were conduc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of Paekche signifies the pro-Wa policies of Paekche especially reinforced at the time. Meanwhile, considering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central Wa during the early 6th century, it is highly likely that a pro-Wa group that newly emerged at the time led the consolidation of the pro-Way policy of King Muryeong’s regime, represented by the construction of Wa-style keyhole tombs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Paekche. Amidst the continuously changing power structure following the fall of Paekche’s capital in the Seoul area due to attacks by Goguryeo and the transfer to its new capital Gongju, central Paekche seemingly chose to consolidate its preferential policies on the local powers and pro-Wa policies, along with its amicable policies toward the Southern Dynasties of China. The changes of local tombs, tombs in the style of central Paekche, and Wa-style tombs that we can note from the tombs of leaders from the southwestern area of Paekche during the late 5th century to the early 6th century clearly demonstrates this trace of political strategies chosen by central Paekche.

국문초록

Ⅰ. 서언

Ⅱ. 죽막동 백제 제사유적에 보이는 왜양식 제의

Ⅲ. 서남부지역 수장묘를 통해 본 백제의 권력구조 및 정치·외교 전략의 변화

Ⅳ. 백제 중앙양식과 왜양식 묘제 채택 배경과 倭

Ⅴ.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