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개정 한국사 교육과정과 성취기준 분석
An Analysis on the Achievement Standard for Korean History in 2015 National Curriculum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17권 1호
-
2017.01427 - 450 (24 pages)
-
DOI : 10.22251/jlcci.2017.17.1.427
- 1,610
이 논문에서는 2015 개정 한국사 교육과정의 특징과 성취기준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려 하였다. 주요 내용을 크게 5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5개정 교육과정은 성취기준의 축소와 교과서 페이지 분량 제한 등을 통해 교과 내용을 감축하는 데에는 어느 정도 성공하였으나 일부 단원에서는 필수 학습 요소마저도 누락시킨 사례가 확인된다. 성취기준의 달성에 반드시 필요한 내용요소들을 중심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중학교 ‘역사’와 고등학교 ‘한국사’의 차별화(계열성 확보)는 두 학교급의 역사교과서가 모두 정치사 중심으로 기술됨으로써 가시적인 효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기존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 학교급별로 내용을 계열화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려 한 시도에서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핵심개념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재정리해야 한다. 총론과 연계하여 한국사 교과의 특성을 살려 핵심개념을 다시 엄선하고, 그것을 중심으로 지식을 확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넷째, 새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과정형 평가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평가권을 보장하고, 사회적으로 그것을 수용하는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변화된 내용이나 새롭게 도입된 개념에 대한 교사연수를 꾸준히 시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is purpos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achievement standard of Korean history education revised in 2015 and to suggest the alternatives for the problems. The main contents are categorized into 5 points as follows. First, it seems that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5 was successful in reducing the contents of curriculum to some extent, but some cases of missing the essential learning points for achieving the standard were found in some sections because of the intention of reducing the amount of study. Second, it is decided that the differentiation between the middle school ‘history’and high school ‘Korean History”on which the curriculum study group had concentrated was not visibly effective because the history textbook of both schools are written oriented to the political history. Third,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key concepts in-depth in order to succeed in the trial for re-constitution of the curriculum oriented to the key concepts. It is required to select the key concepts strictly from Korean history and to find the way to extend the knowledge by focusing on it on the basis of the in-depth understanding on the key concepts. Fourth, it is required for the teacher to guarantee the right of evaluating and to establish the environment to accept it socially in order to perform the course type evaluation emphasized in new curriculum successfully. Five, the explanation on the accomplishment to be suggested together with the curriculum shall be more specified. Its intention shall be clarified it is not a guideline for more important accomplishment standard but a protection against the limit on the accomplishment standard range or arbitrary interpretation as explained by the research group in the foreword of the curriculum. Finally, the consistent training for the teacher on the changed or newly introduced concepts was suggested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curriculum.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2015개정 교육과정과 역사과 교육과정
Ⅲ. 2015개정 한국사 교육과정의 특징
Ⅳ. 한국사 성취기준 분석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