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교육정보부장이 하고 있는 일과 해야 할 일을 구명하여, 교육정보화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교육정보부장의 역할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직무 분석(job analysis)과 역할 기대(role expectation) 조사를 수행하였다. 직무 분석을 통해 교육정보부장의 직무를 정의하고 12개의 책무(duty)와 72개의 작업(task)으로 구성된 직무 모형을 제시하고 직무 명세서를 작성하였다. 역할 기대 조사를 통해 초·중등학교 교육정보부장의 역할 정립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1) ‘부서 운영 기획’, ‘교사 정보화 연수’, ‘정보통신보안 관리 및 교육’, ‘학교 홈페이지 관리’와 같은역할은 지속적으로 강조해야 한다. 2) ‘e-러닝 운영’, ‘교육정보 수집, 가공 및 공유’, ‘교육정보화관련 최신 동향 파악 및 보급’, ‘교육정보 관련 연구회 및 커뮤니티 운영’과 같은 역할은 향후 집중적으로 강조해야 한다. 3) ‘정보화 관련 대회 운영’, ‘저소득층 자녀 정보화 지원’, ‘행정업무’, ‘평가 관리 업무 지원’과 같은 역할은 중요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4) ‘교단 선진화 기기 관리’, ‘컴퓨터실 관리’, ‘소프트웨어 관리’, ‘전산실 관리’, ‘교무업무지원/교육행정정보시스템 업무 지원’과 같은 역할은 향후 조정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교육정보부장의 역할 중에서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향후 집중적으로 강조해야 할 역할에 대한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초·중등학교 교육정보부장의 역할로서 중요하지않은 역할, 조정이 필요한 역할에 대한 정책적 검토가 요구된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