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7625.jpg
KCI등재 학술저널

『三國史記』 高句麗本紀의 原典과 撰述

A study on the basic original text of the Samguksagi Goguryeobongi and it s compiling - focused on the records after the reign of King Jangsoo -

  • 453

본 논고는 『삼국사기』 장수왕대 이후 고구려본기 기록의 원전과 편찬에 대하여 살핀 것이다. 장수왕대 이후 고구려본기 기록 가운데 약 80% 정도가 중국 사서에서 인용한 것이었다. 『삼국사기』 찬자는 여러 중국 사서에서 사신 파견과 책봉 기록을 인용하여 고구려본기에 첨입하였고, 고구려와 중국 왕조와의 전쟁·교섭 관련 기록의 경우는 주로 『資治通鑑』에서 인용한 것이 중심을 이루었다. 고구려와 신라·백제와의 전쟁·교섭과 관련된 장수왕대 이후 고구려본기의 기록가운데 상당수는 신라·백제본기의 기록이 原典이었고, 고구려 자체 전승기록이 原典인 사례도 일부 발견된다. 장수왕대 이후 고구려본기의 기록 가운데 『구삼국사』의 기록이 원전인 것은 110여 개였고, 이 가운데 災異·天變 기록이 약 40%, 대외교섭 기록이 약 25%를 차지한 반면, 국왕·왕실 및 정치 관련 기사는 겨우 25% 정도였다. 『구삼국사』의 장수왕대 이후 고구려 기록이 不備하고 零細하였기 때문에 『삼국사기』 찬자는 그들이 새로 구입한 『資治通鑑』 등과 같은 중국 사서에 전하는 기록을 적극 활용하여 『구삼국사』의 결함을 보완한 『삼국사기』 고구려본기를 重撰한 것으로 이해된다. 『삼국사기』 찬자는 이밖에 王名 및 王諱의 異說, 人名의 異表記, 중국 사서에 전하는 기록의 오류 등을 補注로 제시하는 한편, 자신들의 역사관에 입각하여 襃貶한 사론을 추가로 揭載하여 장수왕대 이후 고구려본기의 기록을 완성하였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original texts and the editing of the Samgugsagi Goguryeobongi after the reign of King Jangsoo. Since the King Jansoo’s period, approximately 80% of the Goguryeobongi records were quoted from the Chinese documents. The editor of the Samgugsagi extracted the articles regarding the dispatch of envoys and emissary from the several Chinese documents and inserted them to the Goguryeobongi. When it comes to the records regarding the interchange between Goguryeo and Chinese dynasties, the editor heavily relied upon the quotation from the Zizhi tongjian. However, among the Goguryeobongi’s records regarding the interchange between Goguryeo and Silla·Baekje after the reign of King Jangsoo, the considerable number of documents original texts were the Silla·Baekjebongi, and also there are documents that the original texts of them were the transmission records written by Goguryeo themselves. Among the records of the Goguryeobongi after the king Jangsoo’s period, there are roughly 110 texts that the original text of them is the Gusamgugsa, and although the records about the disaster amounts to roughly 40% and the records regarding the international relations roughly 25%, the articles regarding the king, the royal family and the politics account for merely 25% of the total documents. Due to the deficiency of the Goguryeo documents after the reign of King Jangsoo in the Gusamgugsa, the editors of the Samgugsagi actively used Chinese documents as the Zizhi tongjian, which they had newly purchased, to compile the Samgugsagi Goguryeobongi so that they could fix flaws in the Gusamgugsa. The editors of the Samgugsagi presented different opinions about King s name and the fallacies in the Chinese records as supplementary references and also completed the records of the Goguryeobongi after the reign of King Jangsoo by additionally inserting their criticism based on the editor’s view of history.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중국 사서의 인용과 그 특징

Ⅲ. 국내 자료의 인용과 고구려본기 기록의 완성

Ⅳ.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