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을 위한 영양교육 자료의 현황을 분석, 정리하여 이를 활용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국가기관, 식품영양 관련 학회 및 대학의 식품영양관련 학과에 의해 개발된 각종 영양교육 자료들과 시중에 보급되고 있는 영양교육용으로 활용 가능한 어린이 도서, 교구 등의 자료들을 수집하여 각 자료를 교육 매체 종류별 그리고 주제별로 빈도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영양교육매체 종류별로 분류하였을 때 인쇄매체 117개(55.7%) > 전자매체 60개(28.6%) > 멀티미디어 14개(6.7%)> 게시매체 13개(6.2%) > 입체매체 6개(2.9%)의 순서로 분석되어 영양교육 자료의 84.3%가 인 쇄매체와 전자매체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양교육 자료를 제작년도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2006년 이전에 만들어진 자료는 39.0%였고 61.0%가 2006년 이후에 만들어 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양교육 자료를 적용 대상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전체 자료 중 51.4%가 저학년에 적용하기에 적합하였고, 48.6%는 고학년에 적용하기에 적합하였다. 대부분의 영양교육 자료가 대상 학년을 표시하지 않아 초등교사의 도움을 받아 분류하였다. 영양교육 자료의 내용 분석을 위해 각각의 자료들이 제공해주는 영양 정보의 내용을 균형식, 식품 및 영양정보, 올바른 식습관, 건강문제, 요리, 식문화, 식사예절,식품 위생 및 안전, 가공식품의 9가지 주제로 분류하였을 때 식품 및 영양에 관한 정보(34.8%) > 올바른 식습관(19.5%) > 건강문제(9.0%) > 균형식(7.6%), 요리(7.6%) > 가공식품(6.7%) 등의 순서로 분석되어 식품 및 영양소, 식습관, 건강문제에 대한 내용을 주로 다루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향후 영양교육 자료를 개발할 때는 보다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고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의 학년 특성에 맞게 자료를 개발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개발된 영양교육 자료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 및 보급을 통해 초등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resent state of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total of 210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were ultimately collected. Wh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nutrition education media, 84.3% of the materials were the printed media (55.7%) and the electronic media (28.6%). Wh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year that the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were made, 39.0% of the materials were made before 2006 and 61.0% were made since 2006. Wh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chool grade that the materials are useful, 51.4% of the materials are useful to 1~3 grade and 48.6% to 4~6 grade. Wh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opic of information provided by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foods and nutrients was topped(34.8%) and followed by the order of eating habit (19.5%), health (9.0%), balanced diet (7.6%), cooking (7.6%) and processed foods (6.7%).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that utilize the diverse types of nutrition education media and that focus on the target school grade. Moreover, it is very important to further strengthen publicity relation about the developed material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