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아동이 우리나라 사회와 학교에 적응할 때 도움을 주고 의생활 속에서 아동의 정체감과 가치관의 혼란을 줄이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신체이미지를 확인하고 비교하였으며,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감간 상관관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의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다문화가정 아동 169명과 일반아동 245명이었다. 다문화가정 아동은 남아가 여아보다 높은 자아존중감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아동은 저학년 여아가 고학년 여아보다 높은 자아존중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다문화가정의 경우 여아와 남아 모두 학년별 신체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신체부위가 있지만, 일반아동의 경우에는 다문화가정 아동과 달리 학년별 신체이미지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신체이미지의 차이를 비교해 보면, 총체적 자아존중감과 개인자아존중감, 학교자아존중감에서 다문화가정 저학년 여아가 일반가정 여아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자아존중감을 나타냈다. 저학년의 경우 다문화가정 아동이 일반아동보다 신체만족도가 높은 신체 부위들이 다수 확인되었지만, 고학년의 경우에는 남아의 체형에 대한 신체만족도를 제외하고는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아동 간 신체만족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저학년 여아와 남아, 고학년 남아의 경우는 일반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신체만족도의 상관이 다문화가정 아동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고학년 여아의 경우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일반아동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신체이미지 간 차이를 성별, 학년별로 확인하였으며, 자아존중감과 신체이미지 간 상관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다문화가정 고학년 여아에서 자아존중감과 신체이미지 간에 높은 상관이 나타났으므로 신체이미지를 활용하여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여 지며, 다문화가정 남아는 자아존중감과 신체이미지간에 낮은 상관이 있으므로 다문화가정 남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sisting multicultural children and homogeneous children in adapting to Korean society and school life, and providing basic references in reducing children s confusion in their identity and value.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self-esteem and body-image of multicultural and homogeneous children are identified and compared, and correlation between body-image and self-esteem is identified. The research subjects are 169 multicultural children and 245 homogeneous children attending elementary school in the metropolitan area. In case of multicultural children, boys had higher self-esteem than girls, and in case of homogeneous children, lower-grade girls had higher self-esteem than upper grade girls. Additionally, among multicultural children, boys and girls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level on the appearance of particular body parts. On the contrary, homogeneous children demonstrated no such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image. Comparing level of self-esteem and body-image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homogeneous children, lower grade girls from multicultural family showed significantly lower self-esteem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from Korean family regarding aggregate, personal and school self-esteem. In case of lower grade children, multicultural children showed greater satisfaction to their physical appearance, however, regarding upper grade children,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level of physical appearance showed except for body shape of male children. Higher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body-image is shown among lower grade male and female homogeneous children and upper grade boys. However, higher correlation was shown among upper grade female multicultural children. This study identifies on all grade levels and gender, the difference between multicultural children and homogeneous children on self-esteem and body-image, and also the study confirms the existence of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body-image. In particular, as strong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body-image is demonstrated among upper grade female multicultural children, one could note that self-esteem may be promoted using body-image. However, male multicultural children of all grade levels showed weak correlation, thus further research on the elements, which influence their self-esteem should be conducted.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