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자기록>에 나타난 관계성 서술 방식의 의도와 효과

Intention and effect of relationship description method appeared on <Jakirok> - the meaning of the source of unhappiness feeling and mourning literature

  • 219
127632.jpg

<자기록>은 18세기 후반 풍양 조씨가 남긴 대표적인 여성 생애기록이다. 본고에서는 이 작품에서 주변 인물들과의 관계성이 매우 중층적이고 전략적인 방식으로 서술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러한 서술이 어떠한 의도와 효과를 갖고 있는지 탐색한다. 이를 통해 작자가 궁극적으로 드러내고자 하는 감정이 당대 규범에서 허용되지 않았던 시부와 시조부에 대한 비판적이고 부정적 감정이었음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자기록>은 인물 제시부를 서술할 때 작자와 그 인물과의 심정적 거리와 친밀도를 고려하여 그를 소개하는 순서와 서술 분량, 인격적 표현과 수사의 수준을 신중하게 선택한다. 그러나 ‘존당 양대인’, 즉 시부와 시조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인물 소개나 묘사를 생략한다. 이는 이들의 존재감을 외면하고 이들에 대해 말하고 싶지 않다는 불편한 마음을 침묵과 누락으로 보여주는 부분이라고 보았다. 또한 <자기록>에는 여러 인물들과의 관계성이 작자의 내적 신뢰와 친밀감의 정도에 따라 단계별 유형화된 설정으로 나타난다. ‘지우 관계’는 친정부모의 ‘부부간’, 언니와 자신의 ‘자매간’, 남편과 자신의 ‘부부간’에서만 등장하는 표현으로, 가장 긴밀하고 절대적인 관계로 설명된다. ‘중층적 감정 관계’는 시모와 자신의 ‘고부간’의 관계로, 낯설고 이질적인 감정과 동지애적인 유대감이 섞여있는 복합적인 관계로 표현되고 있다. 시부와 시조부에 대해서는 어떠한 대화도 관계도 드러내지 않으며, 남편의 와병 과정에서 이들의 언행만을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서술을 보인다. 남편의 병세 악화의 순간마다 등장하는 이들의 언행은 인과적 관계로 전달되며, 이러한 서술을 통해 작자는 존당 양대인에 대한 ‘관계의 거부’를 보이고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자기록>은 죽은 이로 인한 상실감과 슬픔을 작품의 주 원동력으로 한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애도문학의 성격을 가진다. 하지만 이 작품은 죽은 이와의 관계성을 충실하게 복원하는 방식으로 그에 대한 기억을 되살리고 있다는 점, 죽음의 원인과 책임을 따져 묻고 자신의 불행감의 근원을 조심스럽게 전략적인 방식으로 추궁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애도문학으로서의 독자성을 가진다고 보았다.

<Jakirok> is a representative female lifetime record that Madame of the family of Pungyang Cho left in late 18th century. In this, it pays attention to that the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people is described in layered and strategic method, and aim to analyze this intention and effect of description. Through this, it aims to reveal that the emotion that the author ultimately reveals was critical and negative feeling about father in-law and grandfather in-law that were not allowed at the era. When <Jakirok> describes the character presentation part, it carefully selects introduction order, description amount, respectful expression, and rhetoric level with considering emotional distance and intimacy with the character and the author herself. However, about father in-law and grandfather in-law, it omits detailed character introduction and description. This silence and omission look away their existence and are the part showing negative feeling about them. Also, in <Jakirok>, relationship with manay characters appears as stereotyped setting. The best friend relationship is the expression for the most intimate and absolute relation, which only appears in married relationship of parents on wife s side, relationship with sister , and married relationship with husband. Layered emotion relationship is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relationship , which is expressed in complex relationship that is mixture of unfamiliar and different emotion and bonding comradeship. About father in-law and grandfather in-law, she never reveals any conversation and relationship, and shows the description to deliver objectively their words in process of sickbed of husband. Their words appearing at every aggravating moment of husband s sickbed is delivered as it has cause-and-effect relationship about husband s death. Through this description, it was thought the author is showing rejection and denial in relationship about relationship about father in-law and grandfather in-law. <Jakirok> fundamentally has the characteristic of mourning literature because its main source is disappointment and sadness caused by died person. However, as this work restores the memory about died person in the method to faithfully restore relationship with died husband; and it carefully and strategically inquires the source of her unhappiness feeling, it was thought that it has special identity as a mourning literature.

국문초록

1. 서론

2. 인물 제시부의 서술 특징- 관계성의 밀도에 따라 조율되는 감정의 거리

3. <자기록>에 나타난 다층적인 관계성 서술의 양상

4. <자기록>의 애도문학으로서의 의의- ‘기억하기’를 통한 애도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